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식을줄 모르는 ‘한강변 35층 재건축’ 불만…무엇 때문에?
[헤럴드경제=정순식ㆍ윤현종 기자 기자]서울시가 한강변에 짓는 재개발ㆍ재건축 아파트의 최고 층수를 35층 이하로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일선 재건축 단지들의 반발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 25일 ‘한강변 관리기본방향 공청회’를 열고, 과거 오세훈 전 시장이 추진했던 ‘한강 르네상스’ 계획에 따라 50층 이상 신축이 허용됐던 압구정ㆍ반포ㆍ잠실 등 여의도를 제외한 한강 일대 전략ㆍ유도정비구역 10곳의 층고를 모두 35층 이하로 제한키로 하는 방안을 내놓자 이지역 재건축조합들이 사흘째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한강변 재건축 아파트를 최고 35층으로 제한할 경우 재건축 사업의 수익성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며 강력히 반발했다. 서울시의 이같은 방침은 조합원의 추가분담금을 키우고 일반 분양가를 상승시켜 미분양 사태 양산하는 등 사실상 재건축 사업을 가로막는 처사라며 목청을 높였다.

지자체장의 교체로 주택정책이 하루 아침에 뒤바뀌는 정책적 불확실성에 대한 불만도 쏟아져 나왔다. 잠실 5단지 주민 김복동 씨는“오세훈 시장 시절 6년간 연구한 문제를 지금 와서 뒤집으면 재건축 사업은 언제 된다는 것이냐”며 “낡은 아파트에서 사는 주민들의 생활환경을 더이상 방치해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여의도 목화아파트의 한 주민은 “언제까지 주민 재산권이 침해당해야 하느냐”며 사업진행 가속화와 서울시의 일관성 있는 대책을 주문했다.

강남구 압구정도 마찬가지다. 압구정현대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 관계자는 “오세훈 전 시장 시절 50층 계획으로도 사업성이 제대로 확보되지 않아 사업 추진이 지지부진했는 데 층수를 35층으로 제한하면 재건축 사업을 하지 말라는 얘기나 마찬가지다”고 말했다.

일선 재건축 현장을 중심으로 층고 제한에 대한 반발이 거세지는 가운데 최대 관건은 향후 개별 사업지별로 결정될 용적률이 될 것이란 전망이 많다. 이미 상당수 재건축 사업장이 35층 이하로 추진되고 있어 결국 용적률이 사업성을 좌우할 것이란 설명이다. 한강과 접한 수변부 층고를 15층으로 제한하더라도, 연접부 등에서 층고를 35층까지 상향시켜 여러 동을 짓게 된다면 문제가 될 게 없다는 것.

실제 최근 조합설립 동의를 받고 있는 잠실주공5단지 추진위는 320%의 용적률을 바라고 있지만, 시가 임명한 자문단은 280% 선을 제시했다. 서울시는 이같은 여론을 추가로 수렴해 오는 2월 도시계획위원회에서 가이드라인을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factis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