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 국민 금융이해도, OECD 중위권 수준...계층별 격차 커
[헤럴드경제=하남현 기자] 우리나라 국민의 금융에 대한 이해력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중위권에 머문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의 사회계층에 따라 금융이해 수준이 양극화된 것으로 파악됐다.

2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우리나라의 금융이해력 측정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의 금융 이해력은 22점 만점에 14.2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9~10월 18세 이상 79세 이하의 전국 성인 1068명을 조사한 결과다.

이는 OECD 14개국의 평균(13.9점)을 소폭 웃도는 수준으로 체코와 함께 공동 7위다. 그러나 조사 대상에 금융선진국이 다수 제외돼 실제 순위는 이보다 낮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조사는 ▷금융지식(4위) ▷금융행위(5위) ▷금융태도(13위)로 구성됐다. 이중 금융지식과 금융행위는 학력이 낮을수록, 도시에서 벗어날수록, 소득이 낮을수록 점수가 떨어졌다.

임금근로자보다는 자영업자가, 중년층(30~49세)보다는 장년층(50세 이상)과 청년층(18~29세)이 금융지식ㆍ행위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

지방에 거주하는 저학력ㆍ저소득층의 금융이해력이 가장 낮은 반면, 대도시에 사는 고학력ㆍ고소득층의 이해도가 가장 높은 셈이다.

김민규 한은 경제교육팀 과장은 “금융이해력이 낮을수록 과장광고나 불완전판매 등에 비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가능성이 있다”며 “취약계층의 금융이해력을 높이고 사회계층 간 격차 해소를 위한 금융포용(financial inclusion)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airins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