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LG유플러스 7일부터 영업정지…휴대폰 시장 ‘빙하기’ 우려
[헤럴드경제=정태일 기자]과도한 보조금을 방송통신위원회의 제재를 받은 이동통신사 3사가 7일부터 66일 동안 차례로 영업정지에 들어간다. 해당 기간 동안 신규 가입자 유치가 전면 금지되고 보조금 등의 지원도 위축될 전망이어서, 휴대폰 시장에 ‘빙하기’가 올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LG유플러스는 7일부터 오는 30일까지 휴대전화 신규 가입자를 유치할 수 없다. SK텔레콤은 오는 31일부터 다음달 21일까지, KT는 다음달 22일부터 오는 3월 14일까지 영업정지에 들어간다.

영업정지 기간 동안에는 신규 가입자 유치가 금지되고, 기존 자사 이용자들이 단말기를 바꾸는 업무나 인터넷, IPTV등 유선상품 관련 영업만 할 수 있다. 자연히 소비자들의 이통사 선택도 다소 어려워지게 됐다.

과도한 보조금 때문에 발생한 영업정지인 만큼, 해당 기간 동안 방통위의 감시활동은 더욱 매서워질 전망이다. 이에 따라 이통사들도 보조금 규모를 축소해, 소비자들에게 돌아가던 보조금도 많이 줄 것으로 보인다.

또 KT가 7일부터 휴대전화 해지 시 위약금이 발생하는 요금 약정 할인제도를 도입하기로 해, 소비자들의 통신사 이동에 제약이 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통사들은 영업정지 등의 조치가 휴대폰 시장의 빙하기를 몰고 올 수 있다고 판단, 이에 대한 대처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가장 먼저 영업정지를 당한 LG유플러스는 기존 가입자 이탈을 막기 위해 각종 프로모션과 이벤트를 진행하고, 새로운 요금제와 서비스도 출시할 계획이다. 유ㆍ무선 결합상품, 구글TV인 U+TV G, 070플레이어 등 유선상품에 대한 마케팅도 적극적으로 펼칠 예정이다.

동시에 이통 3사간 눈치싸움도 치열하게 전개될 전망이다. LG유플러스는 영업정지 기간에 SK텔레콤과 KT가 과도한 보조금을 지급하는지 감시하고, 불ㆍ편법 상황이 발생하면 고발 등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SK텔레콤과 KT도 영업정지 기간 중 경쟁사가 과도한 보조금을 펴거나, 단말기를 변경하는 기존 가입자에 대한 보조금을 늘리는 사례를 경계하고 있다.

방통위는 건전한 경쟁 질서 유지를 위해 영업정지 등의 제재까지 내렸지만, 롱텀에볼루션(LTE) 가입자 순위 경쟁이 치열해 영업정지 이후에도 이통사간 보조금 경쟁은 쉽사리 수그러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통신업계서는 오히려 영업정지 기간 동안 영업자금을 비축해뒀다 이후 보조금으로 푸는 사업자가 나올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내놓고 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LTE 가입자 순위 경쟁 때문에 영업정지 기간 보조금 과열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의 시각이 있다”라며 “신규 데이터 서비스 출시, 각종 생활서비스 강화 등으로 건전한 통신시장이 만들어지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killpas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