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작년 국내서 가장 많이 팔린 차급은 ‘레저용’ SUV
[헤럴드경제=김대연 기자]지난해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팔린 차급은 레저용 차량 정도로 생각했던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것으로 확인됐다. SUV 판매 실적이 준중형차와 중형차 등을 모두 넘어선 것이다.

7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현대ㆍ기아차 한국지엠 르노삼성 쌍용차 등이 지난해 판매한 차량 중 SUV는 총 25만262대로, 전체 판매 차량의 21.3%를 차지했다.

중형은 같은 기간 동안 23만8117대가 팔려 판매량의 20.3%를, 준중형은 21만9188대가 판매돼 18.6%를 차지했다. 불변의 인기 차급이었던 준중형이나 중형보다도 SUV의 판매량이 더 많은 것이다.

전체 판매 차량 중 SUV의 비중이 20%를 넘어선 것은 지난해가 처음이어서 눈길을 끈다.

2011년에는 SUV의 판매 비중이 17.9%로, 준중형(21.4%)과 중형(20.4%)에 크게 못 미쳤다. 2010년에도 SUV의 비중은 18.2%였다. 같은 기간 중형의 판매 비중은 25.8%, 준중형은 25.3%였다.



차종별로 보면 싼타페가 지난해 신형을 출시하면서 2011년보다 2배 이상 팔릴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신차 뿐 아니라 중고차 시장에서도 SUV의 인기는 뜨거웠다. 국내 최대 중고차 업체인 SK엔카에서 지난해 등록된 중고차들의 판매 실적을 보면, SUV가 처음으로 중형차를 제치고 가장 많이 팔린 차량이 됐다.

업계는 SUV가 적재공간이 넉넉하고, 연비가 좋은 디젤 모델이 많아 실용적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그 인기가 올라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레저용 차량 정도로만 여겨졌던 SUV가 도심에서 일상적으로 활용되는 차로 자리 잡는 단계가 됐다는 것이다.

한편, 경차 판매량이 지난해 10% 가까이 성장해 사상 최다 판매를 기록한 것도 눈길을 끄는 대목이다. 경차는 지난해 20만2854대가 팔려,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20만대 판매를 돌파했다. 판매 비중은 2011년 15.3%에서 17.3%로 늘어났다. 경제적 이점이 경차의 인기를 견인했다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작년 심한 경기 침체 때문에 소비자들이 차를 살 때 연비나 공간 활용성 등 실용성을 가장 많이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sonamu@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