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지난해 쇠고기 원산지표시 위반 25% 급증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쇠고기 원산지를 속여 적발된 건수가 지난해 급증했다. 작년에 미국 등 쇠고기 수출국에서 소해면상뇌증(BSEㆍ일명 광우병)이 추가 발생됨에 따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원산지를 허위로 표시하거나 아예 표시하지 않은 음식점들이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농관원)에 따르면 쇠고기 원산지표시 위반건수는 2011년 690건에서 지난해 866건으로 25.5% 증가했다. 농관원은 원산지표시 대상업소 117만9000곳 중 34만8000곳을 조사해 위반업소를 적발했다. 이 중 허위표시와 미표시는 582건과 284건으로 각각 11.9%, 67.1%씩 큰 폭으로 늘었다.

매년 수입물량이 느는 쌀도 2011년 210건에서 지난해 492건으로 134.3% 급증했다. 수요가 많은 닭고기도 193건에서 229건으로 19.2% 늘었다.


다만 작년 농식품 전체 원산지표시 위반건수는 4642건으로 2011년 4927건에 비해 5.8% 줄었다. 전체 유형별로는 거짓표시가 2731건(58.8%), 미표시가 1911건(41.2%)이었다. 품목별로는 돼지고기가 1348건으로 가장 많았고, 배추김치(870건)가 그 뒤를 이었다.

업종별 원산지위반 적발건수를 보면 음식점이 2508곳(54.0%)으로 가장 많고, 식육점 483곳(10.4%), 농산물가공업체 406곳(8.8%) 등이 뒤를 이었다.

농관원은 원산지 거짓표시 2019건을 검찰에 송치해 1820건을 징역ㆍ벌금형 등 형사 처벌했다. 원산지 미표시 1911건은 시정명령과 함께 6억원의 과태료를 부과했다. 농관원 관계자는 “원산지 부정유통 근절을 위해 예방차원의 지도ㆍ홍보와 더불어 수요가 많고 원산지 위반이 잦은 품목을 중심으로 연중 단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