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부부처 ‘우본<우정사업본부> 쟁탈전’
전국 방방곡곡 거미줄 조직망
인사적체 해소가능 매력 부각
행안부·국토부·금융위 등 ‘군침’


박근혜 정부 출범을 앞두고 지식경제부 산하 우정사업본부(우본)의 몸값이 치솟고 있다. 우본에 관심을 갖고 있는 부처는 4곳에 달한다.

3일 복수의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우본 쟁탈전에 뛰어든 부처는 현 지식경제부, 행정안전부, 국토해양부, 금융위원회 등이다. 이들 부처는 우본이 전국의 도서ㆍ산간까지 촘촘한 거미줄 조직망을 보유해 활용도가 높을 뿐 아니라 자리가 많아 인사 적체를 해소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서로 탐내고 있다.

지경부는 수비를 강화하고 있다. 지경부 관계자는 “우본이 지경부에서 빠져나가면 현재 펼치고 있는 에너지 절약 캠페인같이 빠른 시간에 전국 구석구석까지 전달할 대국민 협조ㆍ호소 사안은 누가 담당하냐”며 “우본도 예전과 달리 복합산업적 측면이 강화되는 만큼 지경부 산하에서 가장 발전성이 크다”고 말했다. 지경부는 우본을 현재의 ‘본부’에서 ‘청’으로 격상시켜 우정청 신설을 계획하는 등 당근책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다른 부처들도 우본 발전 방안들을 내세우면서 지경부 산하에서의 한계를 꼬집고 있다. 에너지와 무역 등 본연의 업무만으로도 벅찬 지경부가 날로 높아지는 우편사업 부문의 글로벌 스탠더드를 어떻게 따라잡겠느냐는 것이다.

행안부는 우본이 본연의 역할을 가장 잘 수행할 수 있는 곳으로 재배치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우본은 본부 외에도 3개 직할관서, 9개 지방우정청, 전국 3633개 우체국 등에 4만4000여명의 인원을 거느리고 있다. 이런 우체국망이 도청과 시청, 동사무소 망과 결합하면 대국민 행정서비스에서 최고의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국토부는 우본의 하드웨어에 관심을 갖고 있다. 국내 민간 택배ㆍ물류회사에서는 대규모 인프라를 갖춘 곳이 우체국인 만큼, 이를 더욱 발전시켜 글로벌 물류조직으로 키워내겠다는 계획이다. 우체국 택배는 작년 매출 3000억원으로 국내 업계 5위를 기록 중이다.

금융위원회는 우본의 변신을 추구한다. 이미 우편 송수신 업무가 인터넷 e-메일로 상당 부분 역할 이관이 된 마당에 금융기관의 성격을 강화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우본은 예금으로만 66조7000억원, 보험도 35조7000억원 등 100조원이 넘는 금융자산을 확보하고 있다.

이 밖에 방송통신위원회도 지경부의 정보통신 관련 조직을 합쳐 개편을 추진할 경우 우본도 가져가야 한다는 입장이다. 우본이 옛 정보통신부 소속이었고 우편업무가 통신의 기초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지난 연말 방통위 고위직들이 직접 우본 임직원과 노조를 잇달아 방문하기도 해 우본 쟁탈전 참여를 공식화하기도 했다.

새 정부에서 우본이 어느 부처의 품에 안기게 될지 벌써부터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다.

윤정식 기자/yj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