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눈길 돌파하려면, ‘전진 후진 반복해 길 만들고 2단으로 출발’
[헤럴드경제=김상수 기자]연말ㆍ연초 전국적으로 폭설과 한파가 기승을 부리면서 새해벽두부터 운전에 비상이 걸렸다. 빙판길 운전은 접촉사고부터 방전까지 다양한 자동차 사고가 발생하기 쉽다. 차량 전문가들은 이 같은 도로환경에 반드시 명심해야 할 운전 수칙이 있다고 조언했다. kt 금호렌터카 차량 전문가들의 조언을 모아봤다.

출발 전에는 다소 시간이 걸리더라도 차량 외부에 쌓인 눈을 모두 제거해야 한다. 일단 출발한 뒤에 와이퍼 등으로 눈을 제거하려다 자칫 살얼음이 언 탓에 시야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특히 얼어 있는 유리창을 모두 녹인 후에 운전을 시작하는 게 중요하다.

눈길을 헤쳐가려면 전진과 후진을 반복해 진로 자국을 만들어놓는 게 좋다. 이런 과정에서 평소보다 연료 소모가 크기 때문에 사전에 연료량 등을 살펴놔야 한다.

눈길 출발은 2단 출발이 좋다. 1단으로 출발하면 구동력이 너무 커 바퀴가 헛돌 위험이 있다. 2단으로 출발하면, 적당한 마찰력이 생겨 차가 한층 쉽게 움직인다.

새로 내린 눈에선 앞차의 바퀴자국을 따라 운행하는 게 좋다. 도로가 미끄럽기 때문에 차간 거리를 평소보다 2~3배 유지하는 게 안전하다. 눈길에 풋 브레이크만 사용하면 차량이 겉돌 수 있기 때문에 엔진 브레이크를 잘 활용해야 한다. 내리막길 등에서 1~2단으로 낮추면 엔진 회전 속도가 줄면서 브레이크가 걸린다. 차가 미끄러질 때에는 당황하지 말고 핸들을 차체가 미끄러지는 방향으로 틀어 차의 회전을 방지해야 한다.

스노타이어나 체인을 꼭 사용하되 과신해선 안되며, 주차는 산모퉁이, 고가도로 밑 도로, 다리 위, 터널의 끝나는 지점 등 결빙 확률이 높은 곳을 피하고, 차량 앞쪽으로 동쪽으로 하는 게 좋다.

사이드 브레이크는 풀어놔야 동결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동 변속 차라면 기어를 1단이나 후진, 자동 변속차라면 P(파킹)에 넣어 주차하는 것이 좋다.

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