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뱀띠 해’ 산업계 주목할 3대 키워드는
경제민주화, 신성장사업, 대형M&A
2013년은 산업계엔 변화와 도전의 해다. 경제민주화 기치를 내건 새 정부의 출범에 산업계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명박 정부의 신성장동력으로 주목받던 산업군의 미래도 새 정부의 손에 달렸다. 그뿐 아니다. KAI, STX팬오션, 동양매직 등 산업계 지형을 뒤흔들 수 있는 대형 인수ㆍ합병(M&A)도 새 주인을 간절히 기다리고 있다.

계사년(癸巳年) 새해에도 국내외 장기 불황의 여파로 험난한 경영환경을 앞둔 가운데 경제민주화, 신성장사업, 대형 M&A 등 직면한 3대 과제의 향방이 올해 산업계의 ‘1년 농사’를 좌우할 전망이다.

▶경제민주화, 강도는 어떻게 될까=산업계가 새해 가장 크게 주목하는 현안은 새 정부의 경제민주화 정책이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당선인사에서도 “경제성장의 과실을 함께 나눌 수 있도록 하겠다”며 경제민주화를 강조한 바 있다. 당선 이후에는 전국경제인연합회 등 대기업 총수들과 만나기 전에 중소기업중앙회를 먼저 방문, 중소기업 챙기기에 나섰다. “중소기업 대통령이 되겠다”는 박 당선인의 발언 속에 향후 행보의 행간이 함축돼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기업은 중소기업 살리기라는 취지에는 공감하나, 그 강도에 주목하고 있다. 낙선한 후보들에 비해 박 당선인이 상대적으로 유연한 경제민주화 정책을 주장했지만, 이미 발표한 경제민주화 관련 정책만으로도 대기업엔 적지 않은 파장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기존 순환출자는 인정하되 신규 순환출자는 금지하기로 했다. 금산분리 정책이나 계열사 간 일감 몰아주기 등도 강력히 규제할 방침이다. 특히 대기업의 부당행위가 발생하면 손해액의 최고 10배를 물게 하는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도입한다. 면면이 대기업의 거센 반발이 예상되는 정책이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경제민주화 추진 과정에서 대ㆍ중소기업 간, 노ㆍ사ㆍ정 간 갈등이 우려된다. 이를 극복하려면 섬세한 정책 집행과 사회적 대타협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MB정부의 유산, 신성장사업 향배는=최근 몇 년간 산업계를 휩쓸었던 신성장사업도 기로에 직면했다. 태양광, 전기자동차, 2차전지, 바이오 등 신성장사업은 업종을 불문하고 지지부진한 행보를 이어가는 중이다.

예상보다 느린 발전속도와 경기불황까지 겹치면서 기업들도 하나둘씩 발을 빼는 모양새다. ‘태양광의 쌀’로 불리며 대기업이 앞다퉈 뛰어들었던 폴리실리콘의 가격은 2012년 내내 하락세를 거듭했다. 태양광 가격정보사이트인 PV인사이트에 따르면, 지난해 초 30달러 선에서 시작했던 폴리실리콘 가격은 현재 15달러 수준으로 반토막이 났다.  

OCI 외에 국내 폴리실리콘 생산업체는 사실상 공장 가동마저 어려운 상태다. 연산 7000t, 3000t 규모의 웅진폴리실리콘과 KCC는 이미 생산을 중단했고, 국내 2위 폴리실리콘 생산업체 한국실리콘은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전기차 사업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정부가 공공기관에 보급키로 목표한 전기차 2500대 중 현재까지 보급된 대수는 800여대에 그친다. 올해부터 자동차업계는 전기차 민간 판매를 목표로 삼고 있지만, 아직 정부가 지원할 보조금 액수조차 확정되지 않았다. 업계 관계자는 “판매가격을 확정 짓지 못하니 경영 목표를 수립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관건은 새 정부의 의지다. 현재보단 미래를 보고 투자하는 사업이란 점에서 정부의 로드맵과 의지에 사업의 미래가 달려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대규모 인프라가 뒷받침돼야 한다는 점에서 기업의 노력만으론 한계가 있는 사업 분야”라며 “미래를 대비하는 차원에서 신성장사업을 키우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절실하다”고 밝혔다.

▶대형 M&A, 새해엔 새 주인을 찾을까=굵직굵직한 대형 M&A 매물의 향방도 관심사다. 현재 시장에 나온 매물만 해도 한국항공우주(KAI), STX팬오션, 대한해운, 동양매직 등이 있다. 불황이 장기화되면 추가 매물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문제는 워낙 덩치가 크기 때문에 주인을 찾는 과정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STX팬오션만 해도 국내 3위 해운업체로 자산 규모만 7조4000억원에 이른다. 대한항공이 최근 KAI 인수를 막판에 포기했다는 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대한항공은 현대중공업과 함께 KAI 인수전에 뛰어들었으나, 최종 본입찰에서 “인수가격이 너무 고평가돼 있다”는 이유로 입찰을 포기했다. 세계 경기 전망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대규모 인수자금을 투자하는 게 부담스럽다는 의미다. 

김상수ㆍ김현경 기자/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