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MB 테마주 ‘전기차 운명’ 어디로…
민간보조금·정부지원 답보상태
公기관 보급목표 30%만 달성
양산앞둔 기아·한국지엠 등 냉가슴

환경부 내년 보급예산 50% 축소
친환경차 미래 차기 정부 선택에


박근혜 정부 출범을 앞두고 자동차 업계가 전기차의 향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전기차는 이명박 정부의 ‘테마주’로 주목받던 사업. 대규모 인프라 구축과 거액의 구입 보조금 등 전기차가 대중화에 성공하려면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수다. 하지만 예상보다 지지부진한 행보를 거듭한 끝에 현재 전기차 시장은 ‘시계(視界) 제로’에 빠졌다. 내년이 전기차 대중화의 원년이 될지, 이명박 정부와 함께 떠나보내게 될지 전기차 사업의 미래는 차기 정부의 선택에 달려 있다.

26일 전기차업계 및 환경부 등에 따르면, 올해 정부가 공공기관에 보급하기로 목표한 전기차 2500대 중 현재까지 실제 보급된 대수는 800여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량의 절반에도 크게 못 미친 수준이다. 환경부 전기차 보급추진사업팀 관계자는 “공공기관의 예산 상황이 넉넉지 않고 생각보다 시장이 활성화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특히 부처 간, 업계와의 의견차이로 공공기관 외에 민간 판매 시 지원할 보조금 액수조차 아직 확정 짓지 못한 상태다.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전기차 양산을 계획하고 있는 자동차업계도 답답한 노릇이다. 기아자동차 레이EV<사진>는 이미 올해부터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양산에 돌입했고, 내년부턴 민간 대상 판매를 목표로 삼고 있다. 르노삼성과 한국지엠도 각각 내년에 SM3 Z.E, 스파크 전기차를 양산할 계획이다. 하지만 민간 보조금 및 정부 지원책 등이 확정되지 않아 신년을 코앞에 둔 현 시점까지 판매목표나 전략 등 내년 사업 계획을 세우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일단 내년부터 민간 판매를 목표로 삼고 있지만, 정부 지원금이 확정된 뒤에나 가능한 일”이라고 전했다. 앞서 양산에 들어간 기아차는 올해 레이 EV 판매 목표를 2500대로 잡았지만, 이는 모두 환경부가 공공기관에 판매하기로 발표했던 목표치이다. 사실상 판매 목표를 업계가 아닌 정부가 정하는 셈이다.

한국지엠 측도 “차량 가격의 윤곽이 확정돼야 사업계획을 세울 텐데 현 시점에선 할 수 있는 일이 없다”고 전했다.

현재 공공기관에 지원되는 보조금은 차량 대당 1500만원 수준으로, 4000만원대의 레이EV를 2500만원 수준에 판매하고 있다. 전기차가 일반 모델 대비 배가량 비싸다. 르노삼성의 SM3 Z.E는 보조금이 없다면 차량 가격에 6000만원대에 이른다. 민간 구입 보조금이 공공기관 보조금보다 훨씬 많아야 실효성 있는 가격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입장이다. 하지만 환경부의 내년 전기차 보급 예산은 276억원으로 올해 572억원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환경부 관계자는 “전기차 시장이 예상보다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는 이유로 많은 예산을 편성받지 못했다”고 전했다.

업계 관계자는 “대규모 예산 편성이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차기 정부의 의지가 전기차 시장 활성화의 핵심”이라며 “자동차업계도 차기 정부가 친환경차에 어떤 입장을 취할지 주목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상수 기자/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