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데스크 칼럼 - 윤재섭> 사회적 비용 유발하는 대학가 휴학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휴학생 스스로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원하는 스펙만 쌓으면 양질의 일자리를 얻을 수 있다는 기대를 버려야 한다.


대학가가 휴학생들로 들끓고 있다는 보고다. 교육과학기술부 산하 한국교육개발원(KEDI)이 매년 한 차례 집계해 발표하는 2012년 교육기본통계에 따르면 올해 휴학생 수(4월 1일 기준)는 93만2703명에 달한다. 일반대학ㆍ교육대학ㆍ산업대학ㆍ전문대학 등 전체 대학 재적생 수가 298만8168명인 점을 감안하면 휴학률이 31.2%에 달한다. 학생 10명 중 3명은 휴학하고 있다는 얘기다.

어느 새인가 휴학은 대학 문화의 하나가 됐다. 2001년 들어 처음 90만명을 넘어선 휴학생 수는 작년까지 12년째 단 한 번도 90만명 밑으로 떨어지지 않았다. 원하는 직장에서 필요로 하는 스펙을 쌓거나 등록금을 벌기 위해 휴학을 택하는 대학생들이 줄지 않고 있다. 때문에 군 입대를 위한 휴학이나 일반 휴학이 몰리는 2, 3학년 전공생 강의실은 자리의 절반도 못 채우고 있다는 소식이다.

취업 길이 막힌 탓에 부득이 휴학을 결정하는 거라면 그나마 다행인데, 문제는 그게 아니라는 데 있다. 청년고용률이 좋아져도 휴학생이 줄지 않는다는 것이다. 교과부 집계에 따르면 휴학대란은 청년고용률(15~29세)이 떨어지기 시작한 IMF 외환위기 때부터 나타났다. 1996년 46.2%였던 청년고용률이 1999년 40.9%로 떨어지자 휴학률은 1996년 22.3%에서 1999년 31.3%로 크게 올랐다. 1999년 청년고용률이 40.9%에서 2002년 45.1%로 나아졌지만, 휴학률은 31.3%에서 33.4%로 오히려 늘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인 2011년 핵심 취업연령층(25~29세) 고용률은 금융위기 이전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아졌지만 휴학률은 움직이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휴학은 사회적 비용을 유발하고, 사회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이라고 지적한다. 젊은이들의 노동시장 진입을 늦출 뿐 아니라 결혼과 출산의 연기, 부실한 노후대비로 이어지게 하는 등 각종 사회문제를 양산하게 된다고 경고한다. 휴학은 고학력자들을 주변인으로 만든다는 점에서 다시 한번 경계할 대상이다. 고학력 인텔리계층의 사회 진입이 늦어지는 사회는 건강한 사회로 발전하기 어렵다. 이들의 불만은 사회질서를 무너뜨리고, 균열과 혼란을 부추기는 반사회적인 운동으로 폭발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정부는 학교에서 일터로의 원활한 이동에 방점을 맞춰 내년도 일자리 예산을 대폭 증액한다고 한다. 취업 이전 단계의 대학 재학생들을 실전형 인재로 키우기 위해 산업수요에 맞는 교육을 지원하는 청년취업아카데미 예산을 393억원으로 대폭 늘리고 수혜대상 학생도 8000명에서 1만4000명으로 증원하기로 했다. 대학의 취업지원 역량을 높이기 위해 취업지원관 지원예산도 64억원에서 79억원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휴학생 스스로의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원하는 스펙만 쌓으면 양질의 일자리를 얻을 수 있다는 기대를 버려야 한다. 우리사회는 인력의 고학력화가 진전됐지만 성장둔화로 인해 그만큼 양질의 일자리가 뒷받침되지 않는 경제구조로 변하고 있다. 좋은 일자리를 찾기 위해 기다리기보다는 노동시장에 서둘러 진입해 좋은 일자리를 찾아보는 노력이 필요하다. 

i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