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대모비스, 국내 車 업계 최초 ‘ISO 26262’ 인증 받아
[헤럴드경제=김대연 기자]현대모비스가 국내 자동차 업계 최초로 ISO 26262 인증을 획득했다.

현대모비스는 10일 경기도 용인의 현대모비스 연구소에서 독일의 국제표준 인증기관 TUV SUD(티유브이슈드)로부터 인증서를 받았다고 밝혔다.

ISO 26262는 자동차 기능 안전성 국제표준으로, 소프트웨어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표준화된 설계를 통해 전장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전장품의 비중이 현재의 20∼30% 수준에서 2015년 40∼50%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소프트웨어와 시스템의 복잡도가 크게 증가한 전장부품의 안전도 평가가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일례로, 현대모비스 전자식 차체 자세 제어장치(ESC)만해도 소프트웨어는 2010년 10만줄에 불과했으나, 첨단 부가기능들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서 불과 2년만에 20만줄 수준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최근 차량 1대의 소프트웨어는 1∼2000만줄에 달할 정도로 매우 복잡하다. 

ISO 26262 인증서를 수여받은 후 현대모비스 임직원 및 티유브이슈드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했다. 인증서 들고 있는 사람 왼쪽부터 티유브이슈드코리아 김두일 사장, 현대모비스 연구개발본부장 이봉환 부사장, 티유브이슈드 Andreas Barwald(안드레아스 배어발트) 글로벌 인증 총괄 책임자, 현대모비스 메카트로닉스개발센터장 채귀한 상무.

국제표준화기구(ISO)는, 이처럼 급속도로 늘어나는 전장시스템의 효과적인 관리를 통해 안전문제를 방지하고자, 2009년 표준 초안을 마련하는 등 각고의 노력을 기울인 끝에 2011년 11월 ISO 26262를 제정했다. ISO 26262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전장품은 안전성에 대해 완성차 업체들의 확실한 신뢰를 받지 못해 시장경쟁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다.

현대모비스는 최근 개발 중인 스마트 크루즈 콘트롤(SCC)과 차선유지 보조장치(LKAS)의 소프트웨어에 대해 ISO 26262 인증을 획득했다. 국내 완성차 및 부품 업체를 통틀어 ISO 26262 인증 획득은 이번이 처음이며, 세계 유수 업체들의 인증 획득 속도에 비해서도 빠른 편이다. 국제표준이 제정된 지 1년여밖에 안됐기 때문에 아직 글로벌 톱 업체들도 제대로 인증을 획득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현대모비스는 국제표준 발표 전부터 전담조직을 가동하며 인증 획득을 준비해 왔다. 현대모비스는 ISO 26262 인증 획득 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2014년부터는 메카트로닉스 개발 전 품목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우선 내년엔 에어백 제어장치(ACU)를 비롯한 4개의 안전 시스템을 대상으로 인증 획득을 추진할 예정이다.

현대모비스 연구개발본부장 이봉환 부사장은 “SCC와 LKAS의 인증 획득 경험을 바탕으로 ISO 26262 국제표준을 만족하는 다양한 안전-편의 기술을 개발, 제품의 안전성을 국제적으로 공인받고 글로벌 톱 수준의 전장 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현대모비스는 자동차 부품 관련 기술과 품질의 최상위 국제표준인 ISO/TS 16949, 환경 국제표준 ISO 14001, 정보보안 국제표준 ISO 27001 등을 획득한 바 있다.

sonamu@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