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맞벌이 증가로 식료품비 절반을 ‘외식비’ 사용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맞벌이 부부가 늘어난 영향 등으로 가계의 식료품비 지출에서 외식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에 육박하고 있다.

농촌경제연구원이 29일 펴낸 ‘식품 수급의 최근 동향과 시사점’ 자료를 보면 가계 식료품비 지출에서 외식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1990년까지 20% 수준에 불과했다. 이 비중은 꾸준히 올라가 2003년 44%에서 2007년 45.2%, 지난해 46.6%까지 높아졌다.

손쉽게 조리할 수 있는 가공식품의 비중도 2003년 23.6%에서 지난해 25.4%로 높아졌다. 반면에 육류, 생선, 채소 등의 신선식품 비중은 같은 기간 32.4%에서 28%로 크게 낮아졌다.

여성의 사회 진출 등이 확대되면서 복잡한 조리가 필요한 신선식품 구매가 줄고, 외식비나 가공식품 구매비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소득계층별 식품소비를 보면 지난해 상위 40%의 월평균 식품비 지출은 81만9000원으로 하위 40%(46만2000원)의 두 배에 가까웠다.

식품비 격차가 이렇게 벌어진 데는 외식비의 ‘빈부격차’ 영향이 컸다. 상위 40%의 외식비는 한달에 40만6000원에 달했지만 하위 40%는 17만8000원에 불과했다.

한국인의 식단은 빠르게 서구화하고 있었다. 1980년 132.9㎏에 달했던 연간 쌀 소비는 2010년 81.5㎏으로 급감했다. 감자, 고구마 등의 서류 소비도 같은 기간 21.5㎏에서 13.8%로 크게 줄었다. 반면 육류 소비는 13.9㎏에서 43.5㎏으로 급증했다. 과실류도 16.2㎏에서 44.2㎏로 크게 늘어났다. 어패류 소비도 22.5㎏에서 36.6㎏으로 늘기는 마찬가지다.

황윤재 연구원의 연구위원은 “외식과 육류소비 증가 등은 식량자급률과 국민 건강 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면밀한 관찰과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