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 LTE 주파수 환경, 앙골라만도 못하다
아프리카 국가도 광대역 할당
전송속도 빠른 1.8㎓ 글로벌 대세

국내선 이동통신용 80㎒만 사용
가입자 1000만명 시대 무색
나머지 70㎒는 군사용으로

내달말 추가할당 폭 결과발표 주목


국내 4세대(4G) 롱텀에볼루션(LTE) 가입자가 1000만명을 넘어섰지만 고품질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국내 주파수 환경은 아프리카 지역 국가들보다도 열악해 넓은 대역(광대역) 주파수 할당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광대역 LTE 주파수 할당은 개별 통신사업자당 양방향으로 최소 15~20㎒폭의 연속된 주파수를 확보하는 것으로 사업자 입장에서는 규모의 경제가 가능해지고 이용자는 높은 전송속도에 기반한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1.8㎓ 주파수 대역에서 최대 2×20㎒폭의 주파수가 확보되면 서비스 전송속도는 150Mbps급으로 빨라진다. 700메가바이트(MB) 영화 한 편을 다운로드받는 데 걸리는 시간이 현재 1분15초에서 37초로 단축되는 셈이다.

유럽과 미국, 아프리카 국가들까지 전 세계 사업자들의 37%가 사용하고 있는 1.8㎓ 주파수 광대역 할당 정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글로벌 LTE 주파수 대역인 데다 기존 이동통신시스템 인프라를 재사용할 수 있어 주파수 효율성이 높기 때문이다. 단말기 수급과 해외 로밍에서도 유리하다. 

서울시내 한 휴게공간에서 시민들이 LTE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헤럴드경제DB]

영국 독일 스페인 폴란드 등 유럽 국가들은 급증하는 모바일 트래픽 수요를 감안해 주파수 경매ㆍ회수ㆍ재배치 등을 통해 2×20㎒의 인접한 광대역으로 1.8㎓ 주파수 할당을 기본 방향으로 정하고 사업자별로 균등하게 할당하고 있다. 최근 LTE 서비스를 상용화한 아프리카 국가들도 연속된 광대역 LTE 주파수를 확보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스트라베이스(strabase)에 따르면 지난 4월과 5월에 아프리카에서 가장 먼저 LTE 상용 서비스를 시작한 앙골라와 나미비아는 정부의 적극적인 주파수 분배 정책에 힘입어 광대역 1.8㎓ 주파수로 LTE 상용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앙골라의 이동통신사인 모비셀(Movicel)은 1.8㎓ 대역(2×20㎒폭)에서 현재 100Mbps급의 LTE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나미비아의 이동통신사인 MTC도 1.8㎓ 대역(2×20㎒폭)에서 100Mbps급의 LTE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MTC는 1.8㎓대역(2×20㎒)뿐만 아니라 2.6㎓대역(2×20㎒폭)도 보유하고 있다.

내년에 LTE 상용화를 준비 중인 나이지리아도 광대역 주파수 대역에서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나이지리아의 경우 5개 사업자가 모두 공평하게 1.8㎓ 대역에서 국내 이통사들보다 5㎒ 더 많은 2×15㎒폭의 주파수를 보유하고 있다.

반면 LTE 주파수를 협대역ㆍ파편화해 경매한 미국은 2차 거래를 통한 추가 주파수 확보 및 광대역화에 많은 사회적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광대역 주파수 발굴을 위해 현재 공공용으로 이용 중인 1.8㎓(1755~1780㎒) 대역을 포함해 여러 공공용 주파수를 재배치하고 이동통신용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계획하고 있다.

1.8㎓ 대역(150㎒폭) 중에서 80㎒폭만 이통용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70㎒폭은 공공용으로 일부 지역에서만 쓰고 있는 우리나라는 미국과 유사한 방식으로 광대역화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70㎒폭이 모두 이통용으로 분배되기 위해서는 군 당국과의 원만한 협의가 해결해야 할 과제다.

방통위 관계자는 “지난해 11월부터 이달 초까지 세 차례에 걸친 필드 테스트를 마쳐 다음달 말 최종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며 “70㎒ 대역폭 대부분을 군이 사용하고 있어 주파수 재배치 문제, 공유 등 여러 가지 협의해야 할 문제가 남아 있다. 70㎒폭 전체가 이통용으로 할당될지는 유동적”이라고 말했다. 

최상현 기자/src@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