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디지털 라디오 도입 무산 위기 왜?..광고시장 지키려는 MBC, SBS, CBS의 자사이기주의
[헤럴드경제=최상현 기자]정부의 디지털 라디오 도입 추진 사업이 교착 상태에 빠진 것은 라디오 광고시장 수익을 의식한 일부 라디오 방송사들의 도를 넘어선 자사 이기주의 때문이다.

미국, 영국, 일본, 호주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이미 디지털 라디오가 도입됐지만 우리나라는 일부 방송사들이 절차를 무시하고 정부 정책에 압력을 행사하면서 무산 위기를 맞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방송사들의 행동에 대해 청취자들의 들을 권리는 물론 정부 역할까지 무시하는 것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디지털 라디오 도입은 포화상태에 있는 FM 주파수 수요를 충족시키고 난청 지역 해소를 위해 방통위 출범 이전부터 추진돼 온 정책이다.

정부는 2009년과 2010년에 총 36억80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미국식(IBOC: In Band On Channel)과 유럽식(DAB: Digital Audio Broadcasting) 기술방식 등을 놓고 비교 실험 방송을 실시했다.

지난해 말에는 ‘디지털 라디오 도입 추진 분과위원회’를 구성해 기술, 서비스, 경제성 등 방송방식 간 장ㆍ단점 분석까지 마쳤다. 그러나 올해 방송방식 선정을 위한 실무 협의회 구성 과정에서 디지털 전환으로 라디오 광고시장의 수익이 줄어드는 것을 의식한 MBC, SBS, CBS 등 라디오 방송 3사가 협의 테이블을 거부하면서 도입 논의는 결국 중단됐다.

라디오 광고 시장은 2300억원 규모로 MBC가 50%를 점유하고 있고 CBS, SBS까지 합하면 라디오 방송 3사의 광고 시장 점유율은 70%에 이른다. 이들 3사가 방송방식 중에서 신규 사업자 진입이 어려운 미국식인 ‘대역내 방식(inband)’을 고집하고 있는 것도 광고시장 수익과 관련이 있다.

‘대역내 방식’은 기존 FM 라디오의 주파수(88~108 MHz) 대역의 좌우의 빈 공간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기존 사업자들이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방송을 동시에 실시해 유럽식인 ‘대역외 방식’에 비해 신규 사업자의 진입 가능성은 낮다.

라디오 방송 3사들은 기존 사업자의 지위가 보장돼야 하며 방송방식도 협의회가 아닌 당사자가 직접 결정해야 한다며 정부 배제를 주장하고 있다. 또 청취자들이 디지털 FM 라디오 방송을 듣는 데 필요한 디지털 FM 수신장치도 제조업체(자동차 업체)들이 의무적으로 탑재하도록 정부에 정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을 위한 재원 마련도 방송방식 결정 이전에 법으로 규정해야 한다며 정부를 압박하고 있다. 방송방식도 정해지지 않은 상황에서 사실상 특별법을 만들어 디지털 라디오 전환에 들어가는 비용을 보전해 달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방통위는 “TV 디지털 전환도 첫 단추는 방송방식 선정과 디지털전환특별법 제정으로 디지털 전환까지 구체적인 논의와 재원이 마련된 것으로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현재 구체적인 추진 일정을 예측하기 힘든 상황이나 투입된 예산과 청취자들의 권리 등을 고려해 디지털 라디오 도입은 반드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src@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