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민족의 자존심 87년만에 다시 세워···산림청 백두대간 이화령 복원
[헤럴드경제=이권형(대전) 기자] 끊어진 백두대간 이화령 구간이 복원됐다. 1925년 단절된 이후 87년만이다.
이화령 복원은 일제에 의해 단절된 백두대간을 되살려 민족정기를 바로 세우는 일임과 동시에 한반도의 중심 생태 축을 연결해 생태계를 복원하는 일이다.

이화령은 백두대간의 본줄기[大幹]로서, 충북 괴산군과 경북 문경시를 잇는 고개로, 영남지방과 중부지방을 연결하는 지역이며 한강과 낙동강의 분수령으로 일제 강점기인 1925년 도로개설로 단절됐었다.

이화령 복원사업은 산림청과 행정안전부가 주관해, 올해 2월부터 백두대간 시민단체ㆍ환경ㆍ조경 산림전문가 및 향토 사학자 등 자문을 받아 올해 4월 초 설계를 완료하고 6개월 간(2012년 4월~11월)의 공사를 거쳐 준공했다.

이 사업은 단절된 이화령 고개에 연장 46m(폭14m, 높이10m), 터널을 만들고, 터널상부를 단절되기 이전의 높이로 성토(해발 548m)한 후 수목을 식재해 생태통로를 조성하여 백두대간을 복원했다.

산림청은 이화령 복원사업 이후에도 복원이 시급한 백두대간 단절구간을 연차적으로 복원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관련, 산림청과 행정안전부는 ‘이화령 복원 준공식’을 11월 15일 오후 2시 이화령 휴게소 광장에서 개최했다.

준공식에는 주관부서인 산림청 이돈구 청장과 행정안전부 맹형규 장관을 비롯한 지역주민, 백두대간 보존관련 시민단체(백두대간 보존회, 백두대간 시민연대, 백두대간 진흥회) 대표와 회원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이돈구 청장은 “소중한 가치를 보유하고 있는 백두대간을 미래세대에 물려주기 위해 적극적인 보전․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이화령 지역의 단절되었던 생태축 복원은 백두대간의 역사성 및 상징성과 생태계 회복의 시발점”이라고 말했다. 

kwon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