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역대 해수부장관 15명 중 인천 출신 ‘전무’… 부산ㆍ경남 출신 10명
[헤럴드경제=이도운(인천) 기자]역대 해양수산부 장관에는 인천 출신이 단 한명도 없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인천과 부산을 중심으로 해양수산부 부활운동과 때이른 입지논란이 빚어지고 있는 가운데 역대 해양수산부 장관은 부산ㆍ경남 출신이 압도적으로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국회 국토해양위 소속 문병호(민주당ㆍ인천부평갑)의원이 국토해양부로부터 받은 ‘역대 해양수산부 장관 출신지역과 주요경력’ 자료를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역대 (구)해양수산부 장관 15명 중 부산ㆍ경남 출신이 10명으로 67%를 차지했다.

충북충남 출신은 2명, 서울 1명, 광주 1명, 강원 출신 1명이었고, 해수부 입지논란이 벌어지고 있는 인천출신 장관은 1명도 없었다.

부산ㆍ경남을 하나로 묶은 이유는 1대 신상우(경남 양산) 장관을 비롯해 노무현(경남 김해ㆍ6대) 전 대통령, 허성관(경남 마산ㆍ10대) 장관 등 경남 출신이지만 부산이 제2의 고향 또는 정치적 고향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문 의원은 “해수부 부활을 위해 부산시민들이 노력해온 점을 이해하지만, 인천시민들도 부산 못지않게 해수부 부활을 위해 노력해 왔다”고 지적하고 “그동안 정부가 부산과 광양항 중심의 양항정책을 펴는 바람에 인천시민들은 인천항의 투자부족과 경쟁력 저하를 심각하게 걱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 의원은 이어 “역대 해수부 장관도 부산ㆍ경남 출신이 대다수였는데, 부활될 해양수산부도 특정지역에 설치한다면 인천 등 다른 해양도시들의 소외감은 더 커질 것”이라며 “우리나라는 3면이 바다인만큼 정부는 균형있는 해양정책을 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문 의원은 “인천과 부산을 중심으로 한 해양수산부 입지논란은 지역경제의 낙후와 소외 때문에 빚어진 일”이라며 “인천과 부산은 해양수산부 입지 쟁탈전을 벌일 것이 아니라 지방자치단체가 스스로 지역발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지방소비세 전환비율 20% 확대 등 실질적인 분권과 자치정책을 중앙정부에 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gilber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