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저축銀 ‘4차 구조조정’ 예고…4곳 중 3곳 적자ㆍ건전성악화. 추가퇴출 전망
[헤럴드경제=최진성 기자]저축은행 4개 가운데 3개꼴로 올해 하반기에 적자를 면치 못한 가운데 건전성 지표도 악화된 것으로 나타나 연내 저축은행의 추가 퇴출(4차 구조조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웅진 계열의 서울저축은행과 서울ㆍ경기지역 기반의 신라저축은행은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마이너스로 떨어져 최근 금융감독원의 검사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15일 금감원에 따르면 분기 실적을 공시하는 19개 저축은행 가운데 15개 저축은행은 올해 3분기(회계연도 기준 1분기)에 적자를 기록했다.

HKㆍ동부ㆍ골든브릿지ㆍ공평 등 4개 저축은행만 10억~30억원대 소규모 흑자에 그쳤다. 19개 저축은행의 당기순손실은 2998억원이다.

특히 모기업 웅진그룹이 법정관리를 신청한 서울저축은행이 614억원으로 가장 많은 적자를 냈고, 신라저축은행도 553억원 적자를 냈다. 금감원은 최근 예금보험공사와 함께 이들 저축은행을 검사하고 대주주에 증자 등을 요구했다.

서울저축은행은 자산 1조8000억원으로, 서울 지역 여ㆍ수신 점유율 4위 업체이며 서울ㆍ경기에서 영업하는 신라저축은행도 자산 1조6000억원으로 규모가 큰 곳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조만간 해당 저축은행의 증자 결과 등을 확인해 적기시정조치(부실 우려 금융회사에 대한 정상화 조치) 여부를 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건전성을 보여주는 BIS 비율에서도 19개 가운데 16개 저축은행이 3개월 전보다 하락했다.

서울저축은행의 BIS 비율이 1.6%에서 -5.5%로 7.1%포인트 급락했고 신라저축은행도 -0.3%에서 -6.1%로 더 나빠졌다.

진흥(-12.0%), 경기(-6.8%), 더블유(-4.1%) 등 3개 저축은행도 BIS 비율이 마이너스이고 현대스위스(1.8%), 영남(2.0%)은 BIS 비율이 감독기준인 5%를 밑돌았다.

저축은행 업계의 경영 상태가 이처럼 악화되면서 올해 안에 추가로 문을 닫는 저축은행이 나올 공산도 커졌다.

실제로 더블유저축은행(194억원 적자, BIS 비율 -4.1%)은 부실 우려가 심각해 금융위원회가 이달 초 적기시정조치 가운데 가장 강도가 센 경영개선명령을 내렸다.

앞서 주재성 금감원 부원장은 지난 8일 “연내 추가로 (저축은행 영업정지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ip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