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골프장 때문에 벌벌떠는 건설사는?
[헤럴드경제=정순식 기자]강원도에 위치한 A 골프장은 지난해 개장한 뒤 1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회원권 분양이 50%에 못미치고 있다. 경기 침체 여파로 골프 회원권 수요가 늘지 않고 있는 데 비해, 과거 골프장 붐이 일면서 우후죽순으로 지어진 골프장 공급이 늘고 있어서다.

상황이 이렇자 불똥은 시공사에게로 번졌다. 이 골프장은 시공한 B건설사는 수백억원의 시공비를 받지 못하고 있다. 시공비가 끝내 지급되지 않으면 시공사로 주인이 교체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경기침체에 따른 회원권 가격하락과 분양 실패 여파로 골프장 업계에서 이같은 사례는 흔하다. 골프장 건설에 손댔다 PF(프로젝트 파이낸싱) 지급보증에 물려 수백억∼1000억원 이상의 빚을 떠안는 기업들도 많다.

실제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재경 의원(새누리당)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말 기준 금융기관이 골프장을 대상으로 대출해준 금액 가운데 잔액이 6조4072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기준으로 전국 골프장 426곳(회원제 239ㆍ대중제 187) 중 344곳이 은행대출을 받았으며, 대출받은 골프장 가운데 적자를 보고 있는 곳은 2009년 152개에서 2010년 167개, 2011년 174개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2007년부터 2008년 상반기까지 골프장 회원권 분양 사업이 피크였는데, 이후 미국의 서브프라임 사태 및 유럽발 재정위기 등 여파로 2008년 중순부터 미분양되는 회원권이 급증하며 PF 대출이 부실화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더구나 한시적으로 면제됐던 특별소비세가 지난해부터 다시 부활돼 그린피가 오른 점도 골프장 운영에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자 건설사들은 아예 골프장 시공은 쳐다보지도 않는 분위기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시행사는 30억~50억원 내외의 땅값 계약금과 인허가 추진비용만으로 사업을 추진한다”며 “하지만 경기침체로 회원권 가격이 하락하고 신규 분양에 실패하면서 지급보증을 선 건설사가 부채를 떠안고 있어 신규 시공은 최대한 자체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s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