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흥국화재 영업용 車보험료 3.9% 인상
[헤럴드경제=김양규기자]자동차보험 인하 압박을 받아오던 일부 손해보험사들이 영업용 차량에 대한 보험료를 인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업용 차량의 경우 생계용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서민들의 금전적 부담과 직결된다.

13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흥국화재는 올해 상반기에 영업용 차량에 대한 자동차보험료를 무려 3.9% 인상했다. 영업용 차량은 버스를 비롯해 택시, 화물차 등으로, 운전을 통해 어렵게 생활하며 돈벌이를 하는 서민들이 대부분이다.

반면 손보업계 빅3사인 삼성화재와 현대해상, 동부화재는 영업용 자동차보험료를 올해에는 조정하지 않았다. 영업용 자동차보험부문에서 손해율이 치솟아 보험료 인하 여지가 없다는 판단에서다. 롯데손해보험과 그린손해보험도 2년째 동결중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영업용 차량에 대한 보험료 인상은 주행거리가 많고, 정비 요금이 오른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화물차나 택시 등은 사고가 잦아 손해율이 높고 , 수익구조를 맞출 수 없어 보험료를 내리기 어려운 구조 ”라고 밝혔다.

영업용 차량에 대한 보험료 인상을 두고 해당 손보사들은 수익성 제고 차원이라는 설명이다. 하지만 또 다른 손해보험사들은 영업용 자동차보험료를 인하해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우선 메리츠화재는 지난 7월 영업용 자동차보험료를 2.8% 내렸으며, LIG손해보험은 0.5%를 인하했다. 또한 온라인전용자동차보험사인 AXA다이렉트와 하이카다이렉트도 각각 3.2%와 2.6%씩 보험료를 내렸다.

메리츠화재의 경우 자동차보험을 경쟁사 대비 엄격히 관리한 결과 영업용 자동차보험료를 인하할 수 있는 여력이 발생했다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지난 4월부터 내리기 시작한 개인용 자동차보험료간 격차도 컸다.

에르고다음이 3.1%로 인하 폭이 가장 컸으며, 흥국화재 (-2.9%), 삼성화재·동부화재·메리츠화재(-2.6%), 현대해상·LIG손보(-2.5%), 한화손보(-2.2%), 롯데손보(-1.8%), AXA다이렉트(-1%) 순이었다.

일부 대형 손보사는 태풍과 폭우가 강타한 지난 8~9월과 행락철인 10월에 손해율이 80%대로, 우려했던 것 보다 손해율이 악화되지 않음에 따라 이르면 내달 중 자동차보험료 추가 인하를 검토하고 있다.인하 수준은 상반기와 비슷한 2% 정도가 될 것으로 전해졌다.

kyk7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