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무결점’ 삼성, 난공불락 독주 시대를 예고하다
[헤럴드경제=조범자 기자]그야말로 삼성 라이온즈의 독주시대가 활짝 열렸다. 투타의 완벽한 짜임새, 어느 팀 부럽지 않은 풍부한 우승경험, 지도자의 리더십, 두꺼운 선수층. 삼성은 이제 난공불락의 무적 군단이 됐다.

삼성 라이온즈가 한국시리즈 2연패를 달성하며 통산 6번째 우승의 금자탑을 쌓았다.

디펜딩챔피언 삼성은 1일 잠실구장에서 벌어진 2012 팔도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6차전서 선발 장원삼의 눈부신 호투와 박석민의 투런홈런, 이승엽의 3타점 3루타 등을 앞세워 SK를 7-0으로 완파했다.

이로써 삼성은 7전4승제의 한국시리즈에서 4승2패를 기록하며 대망의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삼성은 1985년 한국시리즈 없이 전후기 통합우승을 차지했고 2002년, 2005년, 2006년, 2011년에는 한국시리즈 정상에 올랐다.
사진=삼성 라이온즈

또 지난해 삼성 사령탑에 오른 류중일 감독은 전임 선동열 감독에 이어 취임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한 역대 두번째 감독이 됐다.

일본 프로야구에서 활약하다 8년 만에 ‘친정’에 돌아온 이승엽은 중요한 고비마다 결정타를 터뜨리며 팀을 정상에 올려놓아 생애 첫 한국시리즈 MVP에 뽑혔다.

삼성의 야구는 새로운 스타일의 야구를 완성했다. 바로 조화다. 빅볼과 스몰볼의 조화, 투타의 조화, 신구의 조화가 톱니바퀴처럼 맞물리며 황금 비율의 작품을 만들어냈다.

류중일 삼성 감독은 “팬들은 치고받는 빅볼을 선호하지만 야구는 빅볼만으로는 이길 수 없다”며 “번트, 히트앤드런, 한 베이스를 더 가기 위한 베이스러닝, 한 베이스를 안 보내기 위한 수비 등 기본적인 스몰볼이 바탕이 돼야 이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빅볼과 스몰볼, 둘 중 한 쪽을 고집하는 대신 이 둘을 유기적으로 엮으면서 삼성에 최적화된 스타일을 만들어낸 것이다.

투타 역시 타 구단과 비교도 되지 않을 만큼 높고 견고했으며 조화롭게 운용됐다. 이승엽은 “예전에는 타격에 의존하는 대표적인 팀이었지만 올해는 타력 뿐 아니라 투수력이 워낙 좋다. 웬만해선 경기에 질 것같은 생각이 들지 않는다”고 했다.
사진=삼성 라이온즈

특유의 장타력에 투수력까지 더해진 삼성은 거칠 게 없었다. 타격에선 장타력을 겸비한 2번 타자 박한이의 부활과 일본에서 돌아온 이승엽의 가세가 큰 힘이 됐다. 박한이는 그러나 지난해 부진을 딛고 ‘테이블 세터’ 노릇을 충실히 해냈고 돌아온 이승엽은 장타 욕심을 버렸다. 간결한 스윙은 물론 팀을 위해 도루하고 번트를 대는 다라진 모습으로 금세 한국 야구와 삼성 스타일에 녹아들었다. 대신 큰 경기에선 ‘승부사’ 다운 면모를 보였다. 한국시리즈 1차전서 선제 투런홈런으로 기선을 제압했고, 1일 6차전서는 3-0으로 앞선 4회 3타점 3루타를 터뜨리며 “역시 이승엽”이라는 찬사가 나오게 만들었다.

마운드에선 앞뒤가 모두 강한 신개념 ‘삼성 스타일’을 선보였다. 탈보트는 14승, 고든은 11승을 올리며 효자 용병의 이름값을 톡톡히 했고, 생애 첫 다승왕에 성큼 다가선 장원삼(16승)과 팔꿈치 수술을 딛고 7년 만에 두자릿수 승수를 찍은 배영수(11승)는 팬들에게 감동까지 선물했다. 안지만(27홀드)을 비롯해 권혁(18홀드), 권오준(10홀드), 오승환(34세이브) 등 필승조는 선발에 이어 삼성의 뒷문을 확실하게 책임졌다. 특히 장원삼은 2,6차전 승리투수로 다승왕의 힘을 보여줬고, 안지만과 오승환은 시리즈의 승부처였던 5차전서 SK 타선을 완벽하게 요리하며 감탄을 자아냈다.

anju101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