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삼성전자 사상 최대 분기 실적...앞으로도 잘나갈까
[헤럴드경제 = 홍승완 기자] 삼성전자의 3분기 영업이익 8조1200억 원 가운데 IM(무선통신)부문을 제외한 나머지 사업부문이 거둬들인 영업이익은 2조5000억원 선. 5조6000억원의 압도적인 영업이익을 거둔 IM부문에 비하면, 나머지 사업부문의 이익규모는 다소 적어 보이는게 사실이다.

그렇다고 이들 사업부문을 ‘부진’하다고 표현하기는 어렵다.

해당 주요 분야에서 삼성전자는 여전히 압도적인 세계 1위를 지키고 있기 때문이다. 예컨데 반기보고서 기준으로 D램분야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40.2%, 컬러TV 분야 세계시장 점유율은 21.0%로 압도적인 1위다.

사업부문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이익 규모 역시 대체로 늘어나는 추세다.

CE(소비자가전)부문의 반기 영업이익은 1조24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5200억보다 2배이상 증가했다. 지난해 같은기간에는 적자이던 LCD부문은 올 상반기에만 1조300억원대의 영업이익을 냈다.

반도체 부문의 반기 이익이 지난해 3조4000억원 선에서 1조8000억원대로 후퇴한 것이 눈에 띄기는 하지만 삼성전자가 못했다기 보다는 지독한 업황부진이 이어지고 있는 탓이 크다.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 강자인 인텔 정도를 제외하면 대다수의 반도체 회사들은 상반기에 적자를 기록했을 정도로 올해 반도체 업황은 최악이었다. 그만큼 거의 전 사업부문에서 삼성전자의 경쟁력은 유지되고 있다는 이야기다.

하지만 이들 비 휴대폰 사업부문의 시장환경이 최근들어서 점점 만만치 않게 변해가고 있다는 점은 부담스럽다.

우선 글로벌 경기의 침체가 예상보다 장기화 되면서 TV나 가전, PC등의 수요가 좀처럼 개선될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

TV의 경우 전문기관들이 내년 시장 규모를 올해와 비슷한 2억3000만대 수준으로 예상한다. 올 상반기에만 해도 전문가들은 내년부터 다시 TV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최근들어 연일 전망을 하향 조정하고 있다. 그만큼 당분간은 전체 전자제품 시장이 움츠릴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다.

시장이 당초 기대와는 다른 방향성을 보이고, 경쟁자들의 견재도 심해지고 있다는 점도 삼성전자가 극복해야할 부분이다.

삼성전자가 차세대 시장으로 점찍고 공을 들이고 있는 OLED TV의 경우 시장 형성이 예상보다 더뎌지는 반면, 삼성전자가 하고있지 않은 UD TV 시장은 일본계 가전업체들이 합심하면서 예상보다 빠르게 성장하는 모양세다.

반도체 분야에서는 애플이 그간 삼성전자에서 받아쓰던 차세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을 내년부터 대만의 TSMC를 통해 위탁생산 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이미 나온 바 있다. 역시 AP분야 압도적 1위인 삼성전자의 독주를 막기위한 조치다.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는 한동안 움츠렸던 LG디스플레이의 전방위 압박이 거세지고 일본업체들도 부활을 위해 합종연횡을 진행하는 등 삼성을 향해 겨눈 칼끝이 날카로워지는 분위기다.

sw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