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모닝클릭] 미국 국가신용등급 강등 임박(?)…프랑스 3개은행 신용 강등
[헤럴드경제=강주남 기자]국가 신용등급 강등 우려가 주식시장을 짓누르고 있다.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 강등이 임박했다는 소문이 확산되며 향후 글로벌 경기에 대한 불안을 가중시키고 있는 가운데, 프랑스 3개 은행은 장 마감후 유로존 재정위기 여파로 신용등급이 강등돼 후폭풍이 우려된다.

25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26.34포인트(0.2%) 오른 13,103.68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는 4.22포인트(0.3%) 상승한 1,412.97을, 나스닥 종합지수는 4.42포인트(0.15%) 오른 2,986.12에서 종료됐다.

경기지표 호전 소식이 주가 상승을 이끌었다. 미국의 지난달 내구재 주문은 전월대비 9.9% 증가했다.이는 전문가들의 예상치 평균(7.1% 증가)을 웃도는 수치다.

하지만 지난 8월 내구재 주문이 전달에 비해 13.2%나 줄어든데 따른 기저효과도있는 것으로 풀이돼 시장에 큰 영향은 주지 못했다.

항공기를 제외한 비(非) 방산 관련 자본재 주문은 전달에 비해 0.2% 증가한 603억달러로, 예상치 0.7%에 못 미쳤다.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신청자 수는 36만9천명(계절조정치)으로 줄었다. 이는 시장 예상치 36만5천명 보다는 많은 것이다.

그러나 이날 뉴욕 채권시장에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가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을 준비하고 있다는 소문이 퍼져 향후 글로벌 경기에 대한 불안을 가중시켰다.

하지만 이와 관련해 피치의 대변인이 “오는 2013년 말까지 ‘부정적’ 전망을 유지한다”는 직전 성명서 내용을 재확인해 더 이상의 확산은 없었다.

장 마감후 애플은 지난 분기 순익이 82억 달러(약 8조9천800억 원)라고 발표했다. 주당 8.67달러인 애플의 3분기 순익은 톰슨-로이터가 집계한 애널리스트들의 평균 추정치 주당 8.75달러보다 적은 것이다.

3분기 매출은 359억7천만 달러에 이르러 애널리스트들의 추정치 358억 달러를 넘었다.애플의 자체 전망치(가이던스)인 매출 340억 달러, 순익 주당 7.65달러는 충족했다.

애플의 팀 쿡 최고경영자(CEO)는 “환상적인 실적을 기록해 자랑스럽다”며 “최고의 아이폰과 아이패드 등 제품을 가지고 연말 쇼핑 시즌을 맞게 돼 자신감이 충만한 상태”라고 말했다.

애플은 실제로 연말 쇼핑시즌이 포함된 다음 분기에는 매출이 지난해 동기보다 12% 증가한 52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미국 언론들은 이같은 애플의 전망이 여전히 애널리스트들의 전망치를 밑도는 것이지만, 애플이 통상 보수적인 전망치를 내놓는 만큼 실제 매출은 이보다 많을 것으로 예상됐다.

기기별 실적을 보면 아이폰은 지난해 동기보다 58% 늘어난 2천690만대를 판매해 시장의 추정치 2천500만대를 넘어섰다.그러나 아이폰5 판매 대수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았다. 아이폰5는 출시 이후 3분기가 끝난 9월29일까지 9일 동안 판매됐다.아이패드는 총 1천400만대를 판매했다.이는 애널리스트들의 추정치인 1천700만∼1천800만대에는 미치지 못한 것인데다 2분기보다도 17% 정도 줄어든 것이다.이밖에 맥 컴퓨터 490만대를 판매했으며, 아이팟 530만대를 팔았다고 애플은 밝혔다.

애플 주가는 장 중에 1.18% 하락 마감했지만, 시간외 거래에서는 0.61% 반등하고 있다

이에 앞서 끝난 유럽 주요 증시는 혼조세로 마감했다.독일 프랑크푸르트의 DAX 30 지수는 전일 종가보다 0.10% 상승했지만,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는 0.44% 하락마감했다.

영국 런던의 FTSE 100 지수는 5,805.05로 변동이 거의 없었다.

그러나 장 마감후 국제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가 BNP 파리바 등 프랑스 은행 3곳의 신용등급을 강등하고 크레디 아그리콜과 소시에테 제네랄 등 10개 은행의 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낮춰 주말 증시에 후폭풍이 예고되고 있다.

S&P는 이날 성명에서 “프랑스 은행들에 작동되는 경제적 리스크가 우리가 보기엔 증가했다. 그래서 이들이 유로존에서 장기화하는 경기침체 가능성에 좀 더 노출됐다”고 설명했다.이에 따라 S&P는 프랑스 최대 은행의 BNP 파리바의 신용등급을 ‘AA-’에서 ‘A+’로, 방케 솔피아는 ‘A’에서 ‘A-’, 코피디스도 ‘A-’에서 ‘BBB+’로 각각 한 단계 내렸다.

S&P는 “이들 은행이 유로존 특히 프랑스와 남유럽 국가에서 지정학적인 집단성 때문에 증대하는 리스크 영향에 더 취약하다는 우리의 견해를 반영해 신용등급을 강등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S&P는 소시에테 제네랄(SG), 알리안츠 방케, BPCE, 크레디 아그리콜(CA)를 비롯한 다른 10개 은행의 신용등급을 유지했지만 등급 전망은 ‘부정적’으로 제시했다.

S&P는 “전반적으로 우리는 계속 프랑스 경제를 비교적 안정됐다고 보나, 불리한 외부 상황에 대한 탄력은 줄어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비교적 높은 공공부채 부담과 대외 경쟁력 하락, 유로존 위기로 악화하는 지속적인 고실업율, 유럽 경기침체의 연장, 낮은 국내성장 전망”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한편, 뉴욕 유가는 저가 매수세로 소폭 상승했다.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2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32센트(0.4%) 오른 배럴당 86.05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금값도 소폭 상승했다.12월 인도분 금은 전날보다 11.40달러(0.7%) 오른 온스당 1,713.0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 namk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