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흙, 숨쉬다. 옹기’ 설화문화展…옹기의 질박한 외도
‘흙, 숨쉬다. 옹기’ 설화문화展
옹기처럼 한국인의 삶과 밀접한 도자기도 드물다. 오랜 시간 옹기는 우리 곁에서 다양한 쓰임새로 사용돼 왔지만 칭송은커녕 ‘값싼 질그릇’으로 치부돼 왔다. 그러나 옹기는 숨쉬는 그릇이자, 뛰어난 방부성과 발효성, 정화능력을 보여준다. 수돗물도 좋은 옹기에 담아놓으면 물맛이 각별해진다. 이 같은 옹기를 재조명함으로써 우리 옹기의 전통과 역사적 가치를 보여주는 전시가 문화의 거리 북촌에서 개막됐다.

아모레퍼시픽의 한방화장품 브랜드 설화수가 종로구 삼청로의 학고재갤러리에서 전통공예와 현대미술이 어우러진 ‘2012 설화문화전(展)’의 막을 올렸다.

올해로 6회째를 맞는 ‘설화문화전’은 전통공예와 예술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현대공예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설화수가 매년 개최해온 기획전이다. 이 전시는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대표적 우리문화 전시로 평가받고 있다.

올 주제는 ‘흙, 숨쉬다. 옹기’. 일상 속에서 두루 쓰였으면서도 가치와 심미성이 거의 평가받지 못했던 옹기를 재조명하는 기획전으로 크게 두 파트로 꾸며졌다. 갤러리의 주 공간을 차지한 것은 5명의 전통공예 전승작가의 튼실하면서도 덤덤한 전통옹기다. 중요무형문화재 제96호 옹기장 정윤석, 충남 무형문화재 38호 옹기장 방춘웅, 제주 옹기장 김청길, 서울시 무형문화재 옹기장 배연식, 울산시 무형문화재 옹기장 허진규 등 5명이 참여했다. 이들은 큰독, 김장독, 죽허벅, 물허벅, 푸레독, 물두덩 등 다양한 형태의 옹기를 내놓았다.
 
전통옹기의 새로운 심미성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된 ‘2012설화문화전’ 현장. 젊은 산업디자이너는 옹기토로‘ 공간의 피부’(왼쪽)를 제안하기도 했다

옹기를 현대적 기법으로 재해석한 작가의 코너는 보다 도전적이다. 미디어 아티스트 양민하, 도예가 권진희, 도예가 이기욱, 가구디자이너 황형신, 산업디자이너 SWBK(이석우ㆍ송봉규) 등 5명(팀)은 옹기토로 빚은 실험적인 오브제에서부터 설치작업, 미디어아트를 시도했다.

질박한 옹기토를 쌓아 빛과 그림자가 어우러진 은유적 공간을 만든 권진희, 나무로 몰드틀을 만든 후 옹기토를 눌러 찍어 기하학적 형태로 구워낸 황형신의 설치작업은 참신하고 흥미롭다. 산업디자이너 SWBK는 숨쉬는 재료인 옹기의 특성을 살리되, 이를 기왓장처럼 겹겹이 이어붙임으로써 건축과 인테리어에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의 피부’로 제안했다. 전시는 11월 3일까지. 무료관람. (02) 794-1558 

이영란 선임기자/yr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