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싸이는 한국의 혁신 사례"
[헤럴드생생뉴스] ‘강남스타일’로 신드롬을 일으킨 가수 싸이가 한국의 혁신 사례로 눈길을 끌었다.

미국의 저명 학자인 스캇 스턴 매사추세츠공대(MIT) 경영대학원 교수가 “가수 싸이는 한국인도 스스로 즐길 수 있고 서비스 중심의 기업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 대표적 혁신 사례”라고 평가했다.

스턴 교수는 22일 기획재정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이 JW메리어트호텔에서 주최한 ‘2012 산업혁신 서비스산업 선진화 국제포럼’에 참석, “싸이는 창조성, 예술성 면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리더가 됐다. 한국인의 또 다른 면모를 보여줬다”며 이렇게 밝혔다.
이어 기업가정신을 잘 반영한 사례라고 칭찬하기도 했다.

그는 MIT 내의 기업가 정신 육성 관련 센터인 ‘마틴 트러스트센터’에서 비즈니스 플랜 관련 대회를 홍보하려고 동영상을 만들었는데, 센터 원장이 학생들과 싸이의 춤을 췄다는 내용도 소개했다.

스턴 교수는 한국이 제조업에서 서비스업 중심으로 전환하려면 “혁신과 혁신클러스터가 중심이 돼야 하고 혁신 기반의 기업가 정신이 필요하다”며 “한국이 이미 잘 하고 있는 제조업 분야를 진화시켜 서비스업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한국이 다음 단계 성장을 위해선 기업가 정신 육성으로 정부 주도의 하향식이 아니라 상향식의 더 많은 실험이 허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에선 기업가가 된다고 하면 많이 축하해주는데 한국에선 서울대 나와서 대기업 직원, 공무원이 되는 게 아니라 창업한다고 하면 좋아하지 않는 것 같더라”면서 “스티브 잡스 같은 사람이 나오려면 사회적 시각이 바뀌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부나 정책의 역할은 어떤 산업에 어떤 기업이 참여할지를 정해선 안 되고 기업 간에 경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비용 기준이 아니라 혁신이나 부가가치, 품질 등을 기준으로 특정산업 내 한국기업 간 경쟁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국 경제의 현주소는 ‘모방경제’에서 ‘혁신기반 경제’로 가는 마지막 단계라고 평가했다.

조선, 자동차 등 제조업 분야와 달리 정보기술(IT) 등 서비스 분야에선 선도적 클러스터가 없고 창업도 활발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2005~2009년 한국 기업이 등록한 국제특허 3만2000여건 중 90%는 LG·현대·삼성계열사가 등록했다며 “혁신역량이 소수 기업과 수도권에만 집중돼 있다”고 우려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