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웃음거리 된 문화부 홍보만화, 성인물로 둔갑?
[헤럴드경제=채상우 인턴기자]문화부가 ‘게임시간 선택제’를 위해 만든 홍보만화 캐릭터가 성인물로 패러디됐다. 성인물 주인공으로 탈바꿈한 해당 캐릭터는 온라인 커뮤니티는 물론 해외 성인사이트로까지 퍼져갔고, 문화부의 홍보만화는 졸지에 웃음거리로 전락하고 말았다.

문화부는지난 7월 법정대리인이 신청하는 시간대에 청소년이 인터넷 게임을 이용할 수 없도록 제한하는 ‘게임시간 선택제’를 시행하며, 8월말께 홍보만화 한 편을 제작했다. 해당 만화는 청소년 자녀를 둔 두 엄마가 게임시간과 관련한 대화를 나누는 것으로 스토리를 이어간다.

파장의 중심에 선 등장인물은 바로 ‘민국 엄마’다. 홍보만화에서 민국 엄마는 금발 머리를 뒤로 묶어 넘기고 민소매 나시를 입은 모습으로 등장한다. 내용은 평범했으나, 캐릭터의 복장과 외형이 비범했던 탓에 민국 엄마는 금세 성인물 패러디의 사냥감이 됐다.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급속도로 퍼지고 있는 민국 엄마의 패러디는 심지어 야설, 성인만화뿐 아니라 성인게임으로까지 제작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패러디물은 급기야 해외성인사이트에도 전파됐다. 


민국 엄마의 성인 패러디물에 대해 네티즌들은 다양한 의견을 내놓고 있다. 해당 패러디물은 “아동청소년보호법으로 음란물 제한이 심해진 것에 대한 반항이다”, “보호자가 자녀의 취미생활 시간을 함께 조절할 수 있지만 국가적 개입이나 제도 혹은 강제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무슨 일이 있더라고 결사 반대”라면서 게임시간 선택제에 반대하는 이들이 반감을 품고 제작하고 있다는 의견이 눈에 띄었다.

그런가 하면 패러디된 문화부의 홍보만화에 대해 “민국 엄마는 아동청소년법에서 규정한 아동음란물 규정에 적용되지 않으니 괜찮다”고 비꼬는 반응도 있었다.

일부에서는 그러나 민국 엄마 패러디가 도를 넘었다는 목소리를 냈다. 온라인 커뮤니티의 한 네티즌은 “도가 지나친 면이 있지 않나 싶다. 이건 엄밀히 말해 패륜”이라고 지적했다.


일파만파 퍼지고 있는 ‘게임시간 선택제’ 홍보만화 패러디물에 대해 문화부 관계자는 22일 “해당 홍보만화는 문화부 차원에서 직접 만든 것은 아니다. 행안부의 국민공감형 콘텐츠 제작지원을 받은 작품”이라면서 “제작에는 관여하지 않았다”고 캐릭터 논란에는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도 “현재 패러디물 제작 경로를 파악하고 상황을 정리한 뒤 향후 조치 방향을 정할 것”이라는 입장을 전했다.

한편, 문화부의 ‘게임시간 선택제’ 홍보만화에 대해 대다수의 네티즌들은 현재 이를 제작한 부처를 여성부로 잘못 알고 있는 상황. 이에 대해 여성부 측에서는 셧다운 문제와 성인물 규제로 연일 구설수에 오르며 거세진 여성부에 대한 반발심이 오해를 불러 일으킨 것으로 보인다며 씁쓸해했다.

doubleu@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