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강남ㆍ서초, 암사망률도 최저…소득 격차 때문?
[헤럴드생생뉴스]서울 자치구 가운데 암사망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강남3구 가운데 두 곳으로 나타났다. 바로 강남과 서초구였다.

2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이목희(민주통합당)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2007~2011년 서울시 자치구별 연령표준화 암사망률’ 자료에 따르면 강남구는 2007년, 2010년, 2011년에 암사망률이 최저를 기록했다.

2008년과 2009년에 강남구의 암사망률은 자치구 가운데 두 번째로 낮았다. 이 기간 암사망률 최저 자치구는 인근 서초구로, 2007년과 2010년에는 두 번째로 암사망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강북구는 2007~2011년 사이 2년간 암사망률이 자치구 중 가장 높았고 나머지 3년동안에도 암사망률 상위 5위권 내에 머물렀다.

이 같은 결과에 이 의원은 “자치구별 암사망률 격차는 소득수준에 따라 의료비 부담능력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복지부가 제출한 소득 20분위별 암환자 1인당 진료비를 비교한 결과 소득 하위 1~5분위는 335만3000~433만4000원인 반면 소득 상위 1~5분위는 484만9000~589만7000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1인당 진료비가 제일 높은 소득 상위 1분위계층의 경우 제일 적게 쓴 하위6분위 계층에 비해 지출이 78%나 많았다.

다만 정부의 의료비 지원 제도인 의료급여 대상자가 속한 최저소득계층은 하위 2~6분위보다 1인당 암진료비가 더 높았다.

이 의원은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암진료비를 더 많이 쓰고 암사망률도 낮아지는등 ‘암치료 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며 “정부가 암관리 정책으로 소득 차이를 극복하는 ‘암진료 복지’를 실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령표준화 암사망률이란 주민의 연령 구성 차이를 보정한 후 비교한 암사망률이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