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절규의 몸부림…우리시대 짜라투스트라인가
오원배 ‘회화적 몸의 언어’ 展
‘사회 속 인간’을 그리는 작가 오원배(동국대 교수)가 서울 사간동의 금호미술관에서 초대전을 연다. 오원배는 ‘회화적 몸의 언어’라는 타이틀로 오는 18일부터 11월 11일까지 개인전을 연다.

그에게 화두는 인간이다. 그 인간은 대체로 어둡고, 일그러진 형상을 띠고 있다. 매끈함과는 거리가 먼, 거칠고 투박한 인간들은 너른 화폭에서 절규하듯 몸부림치며 극적인 움직임을 드러낸다. 그런데 그 몸부림은 어둠과 갈등을 넘어 고뇌를 감내한 이 시대 우리의 ‘토종적 짜라투스트라’로, 강인한 생명력을 발현(미술평론가 정영목 評)한다.

이번 전시에서 오원배는 인간 몸의 형상화에 집중했다. 과거 하나의 단순한 표상이었던 인간의 육체를, 근래에는 ‘정신성을 품고 있는 실존의 집결체’로 보고 이의 회화적 표현에 힘을 쏟았다.

오원배는 묻는다. 현대인의 삶에 있어 몸이란 무엇인가. 기대와 절망, 생성과 소멸이 공존하는 몸의 본질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하고. 그 성찰을 통해 작가는 인간이란 존재는 나의 몸에 머물다 사라지는 허무의 존재이자, 지구 위 유일한 생명체로 만물의 영장임을 역동적 몸짓으로 형상화했다. 

거대한 구조물에 인간의 어눌한 몸짓을 대비시킨 오원배의 신작회화 ‘무제’.                    [사진제공=금호미술관]

그가 이번에 선보이는 그림들은 압도적으로 크다. 대부분 가로 4m에 가까운 대작이다. 캔버스 2개를 덧대 하나로 만든 700~1000호짜리 그림도 여러 점이다. 작가는 “대형 작업을 해야 속이 시원하다”고 했다. 1980년대 프랑스 유학시절 강렬한 대작들을 워낙 많이 접한 데다 잘 팔리는 장식적 작품보다는 역동적이며 의미 있는 그림을 그려야 한다는 소명의식도 작용했다. 그의 신작은 극적 제스처를 취한 인물들 뒤편으로 모호한 건물과 공간이 등장한다. 대형 정미소처럼 보이는 공장 내부를 상세히 묘사한 그림도 여럿이다. 그런데 오원배의 공간은 왠지 폐허처럼 보인다. 낡은 기계공장의 천장, 교각은 지금은 찾아보기 힘든 20~30년 전 우리 사회의 구조물이다.

“우연히 인천의 한 공장을 찾았는데 그 분위기와 공간 분할에 매료돼 열심히 그렸다”는 그는 기기묘묘한 철골구조와 거대한 벨트, 구동기계가 얽힌 공간에 꿈틀대는 인간의 역동적 몸짓을 대비시켰다. 그 묘한 대비는 누아르 영화의 미장센처럼 다가온다. 매일 일기쓰듯 그린 드로잉 200여점도 전시한다. (02)720-5114

이영란 선임기자/yr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