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구미 불산가스 사태 불안감 속, 대기업 온실가스 배출량 살펴보니…
포스코 5년간 1위
현대자동차와 정유4사 배출량 관리하며 선전
매출 25조 LG디스플레이, 164조 삼성전자보다 많아


[헤럴드경제=류정일 기자] 국내 기업 중 포스코가 온실가스 배출량이 가장 많은 기업으로 나타났다.

구미 불산가스 유출 사태로 기업체 유독물질 관리 실태가 도마에 오른 가운데 15일 장하나(민주통합당) 의원실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포스코는 온실가스 배출량 1위에 올랐다.

지식경제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가 장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의하면 포스코는 2007~2011년 온실가스 배출량이 2007년 6743만톤(tCO2eq)에서 지난해 8076만톤으로 증가하며 매년 1위를 기록했다. 특히 포스코는 2위권과 비교해 매년 최대 40% 가량 더 많은 온실가스 배출로 압도적인 1위 자리를 지켰다.

2~6위는 한국남동발전, 동서발전, 남부발전, 서부발전, 중부발전 등 한전 발전 자회사로 5년간 꾸준히 상위권을 지켰다. 10위권내에는 쌍용양회와 현대제철도 이름을 올렸다. 특히 현대제철은 2007~2009년 400만톤 안팎이던 온실가스 배출량이 최근 2년간은 1000만톤을 훌쩍 넘기며 지난해 7위에 올랐다.

반면 SK에너지, 에쓰오일, GS칼텍스, 현대오일뱅크 등 정유 4사는 상위권이지만 매년 소폭이나마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들어 대비를 이뤘다. SK에너지는 2009년 862만톤으로 고점을 찍은 뒤 2010년 842만톤, 2011년 823만톤으로 배출량이 감소했고 나머지 3사도 지난해를 제외하고는 큰 폭의 증가세 없이 배출량이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 SK에너지 모회사인 SK이노베이션은 그린에너지 프로젝트로 전사적으로 온실가스를 관리하고 있다. 2007년 국내 최초로 사내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했고 SK울산콤플렉스에서는 폐열스팀 도입 및 폐열 교환으로 에너지 절약과 동시에 환경개선을 이뤘으며 SK서린빌딩은 빙축열 시스템을 도입했다.

전자업계에서는 LG디스플레이가 단연 많은 배출량을 보였다. 지난해 592만톤의 배출량으로 13위인 LG디스플레이는 2007년 313만톤에서 꾸준히 상승했고 지난해 530만톤으로 16위를 기록한 삼성전자보다 더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한 것으로 드러났다.

2003년부터 협력사를 대상으로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해 그린 파트너십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기술적, 재정적 지원을 해온 현대자동차는 지난 5년간 매년 130만~150만톤 수준의 온실가스 배출로 상대적으로 우수한 관리능력을 입증했다.

지난해를 기준으로 통신업체 가운데는 KT가 117만톤으로 55위에 올랐고 이어 LG유플러스가 83만톤으로 65위, SK텔레콤은 60만톤으로 87위를 기록했다. 유통업계에서는 롯데쇼핑이 74만톤(72위), 이마트가 49만톤(97위)으로 100위권에 이름을 올렸으며 지자체 가운데는 서울시가 229만톤으로 37위, 부산시가 89만톤으로 64위에 올랐다.

/ryus@heraldcorp.com



2011년 온실가스 배출량 순위

순위 법인명 배출량(tCO2eq)

1 포스코 80,767,382

2 한국남동발전 50,995,492

3 한국동서발전 41,412,023

4 한국남부발전 38,563,496

5 한국서부발전 38,524,104

6 한국중부발전 37,351,627

7 현대제철 14,589,524

8 쌍용양회공업 12,189,236

9 SK에너지 8,239,796

10 에쓰오일 8,182,249

11 GS칼텍스 7,620,313

12 동양시멘트 7,550,545

13 LG디스플레이 5,927,747

14 LG화학 5,905,258

15 라파즈한라시멘트 5,590,942

<자료:지식경제부>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