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부, 공공기관 해외진출 이젠 내실 꾀할 때
[헤럴드경제=윤정식 기자]정부가 공공기관의 해외진출 지원에 팔을 걷어부쳤다. 당장 올해말부터 해외 전문인력 대거 확충 방안을 시작으로 중장기 전략 수립, 예비타당성 조사, 금융지원 강화 등으로 공격적인 ‘규모 확충’보다는 ‘내실화’를 꾀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10일 과천정부청사에서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제30차 위기관리대책회의를 열고 공공기관의 글로벌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박 장관은 회의에서 “최근 자원개발 공기업을 필두로 공공기관의 해외진출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며 “공공기관의 높은 전문성을 활용해 해외수주실적 확대 등의 성과로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전체 288개 공공기관들 가운데 214개 기관이 현재 글로벌 활동을 벌이는 등 규모 면에서는 최근 수 년 동안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지만 주로 자원개발 사업 등 고비용ㆍ고위험성 사업임을 감안 신중한 타당성 조사 등 내실을 키울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날 정부가 관계부처합동으로 발표한 방안은 크게 4가지다.

먼저 공공기관 내부경쟁력 홥보 차원에서 당장 올해말부터 해외사업 추진 시 공공기관 내 재무ㆍ법률 전문가를 포함한 ‘리스크관리위원회’ 심의를 의무화하고 해외 전문인력 확충에도 나선다.

두번째는 글로벌 활동 관련 인프라 정비다. 비밀유지 등 해외사업의 특수성을 고려한다고 해도 대부분 예외 없이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쳐 사업규모의 적정성 등을 평가한다. 또 자원개발 등 규모가 큰 사업에 대해서는 수출입은행을 중심으로 한 정책금융기관 실무협의회를 통해 금융지원을 추진한다.

셋째로는 개발협력사업의 활성화다. ODA자금을 활용한 공공기관 해외진출을 지원하고 코트라 등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국제조달시장 진출도 확대한다. 이를 통해 개발도상국들 과의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SP) 활성화에도 힘쓸 예정이다.

마지막으로는 공공기관 글로벌 협의회를 신설해 해외에 진출한 공공기관들의 협력ㆍ엽계를 강화한다. 또한 해외 공기업들과의 네트워크를 구축해 실질적 협력을 강화해 에너지ㆍ자원개발ㆍSOC 사업에서의 정보를 공유한다.

yj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