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유럽은행 부채 축소가 세계 성장 발목잡는다”
IMF ‘디레버리징의 역설’경고
국제통화기금(IMF)은 내년까지 유럽 은행의 디레버리징(de-leveraging, 부채 축소) 규모가 예상을 웃돌아 유로존을 넘어 세계 경제 성장을 저해할 것으로 전망했다. 빚을 줄이는 데만 집중한 나머지 수요기반이 무너져 경기 회복의 발목을 잡는 현상을 뜻하는 ‘디레버리징의 역설’이 우려된다는 것이다.

또 유럽 당국의 위기 해결책이 미진해 전 세계 금융안정도가 올 4월과 유사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IMF는 10일 ‘세계금융안정보고서(GFSRㆍGlobal Financial Stability Report)’를 통해 “올해 4월에 비해 은행들의 자금조달 여건이 악화됐으며 투자자들의 위험 선호 심리도 위축됐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유럽중앙은행(ECB)의 새 국채매입 프로그램인 ‘OMT(Outright Monetary Transaction)’를 통한 무제한적 국채 매입이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금융시장의 긴장을 완화했고, 미국의 모기지 채권 매입과 일본의 자산 매입 규모 확대 등이 세계 금융시장 안정에도 중요한 결정이었다고 주목했다.

하지만 유로존에 대해서는 정책 대응에 따라 유럽 은행의 디레버리징 규모가 내년까지 2조3000억~4조500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 4월 추정치인 2조2000억~3조8000억달러보다 늘어난 것이다.

보고서는 유로지역이 통화ㆍ재정ㆍ금융 연합을 구축하기 위한 가시적인 로드맵을 제시해야만 금융안정을 달성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IMF는 시나리오별 전망을 통해 유로존 통합을 위한 단일 감독기구 도입 같은 정치적 결단으로 시장 신뢰가 점진적으로 회복되는 경우를 ‘베이스라인’으로 예상했다. 더불어 전망치의 하단은 추가 정치적 합의 도출 실패로 유로존 붕괴 우려가 가속화돼 글로벌 금융 시스템 및 경제 전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상단은 정책입안자들의 정책 추진이 예상보다 빨리 진행되는 경우를 가정했다.

보고서는 미국에 대해서도 정부 부채의 지속가능성을 금융시장의 중기 위험요인으로 꼽았다. 

<윤정식 기자>
/yj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