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0대 고용은 5개월째 역주행 ‘속빈강정’
9월 취업자수 10년6개월만에 최고라는데…
전년동기비 68만5000명 증가
추석연휴 따른 기저효과 영향
10월 이후엔 증가세 둔화 전망
20대 5만6000명 감소 고용부진



20대 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5개월 연속 감소했다. 이런 가운데 5060세대가 9월 고용률을 끌어올렸다. 일용직과 무급가족종사자 증가도 고용률 상승에 한몫했다.

청년실업은 여전한데 취업자 상당수가 영세자영업이나 저임금 일자리로 내몰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고용의 질은 여전히 별로란 얘기다.

통계청이 10일 발표한 9월 고용동항에 따르면 9월 취업자 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68만5000명이 늘었다. 2002년 3월(84만2000명) 이후 10년6개월 만에 가장 많다.


통계청은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취업자가 증가한 데다 지난해 9월 추석 연휴로 취업자 수 증가폭이 크게 줄어든 데 따른 기저효과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9월 실업률은 2.9%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0.1%포인트 낮아졌고 실업자 수는 75만2000명으로 6000명 줄었다.

9월 고용률은 6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0.9%포인트 올랐다. 20대(-0.9%포인트)를 빼고는 30대와 60세 이상(각 1.8%포인트), 50대(1.6%포인트) 등 모든 연령대에서 상승했다. 취업자 증가는 50대(32만6000명)와 60세 이상(29만3000명) 등이 주도했다.

그러나 20대 취업자는 인구 감소 영향 등으로 5만6000명 줄며 5개월째 감소했다. 인구증감효과를 제거해도 20대는 5만8000명 감소해 청년 취업난을 반영했다. 이에 따라 청년(15~29세) 고용률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0.4%포인트 하락했고, 실업률은 같은 기간 0.4%포인트 올라갔다.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정부과천청사에서 주재한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20대 고용이 부진하고 10월 이후에는 고용의 경기후행성과 기저효과로 고용 증가세가 둔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내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조동석 기자>
/dsch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