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금융당국, 장래수익률 보장펀드 암행감사
[헤럴드경제=안상미 기자]금융당국이 펀드 투자를 권유하면서 장래수익률을 장담하는 등의 관행에 대해 점검에 나선다.

펀드판매사들의 계열사 펀드 몰아주기에 대해서도 더욱 상세히 공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금융감독원은 하반기에 실시하는 펀드 미스터리쇼핑에서 장래수익률 등에 대해 단정적인 정보를 제공하는지를 평가항목에 포함해 점검할 계획이라고 10일 밝혔다.

금감원 관계자는 “펀드 상품을 소개하며 원금을 보장한다거나 낙관적인 시나리오로 일관하는 부분을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증권사, 은행, 보험 등 펀드 판매사들이 원금 손실 등의 불확실성이 존재하는데도 반드시 수익을 거둘 것처럼 오인하는 과장광고를 하거나 부당한 투자권유 행위를 벌이고 있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계열사 펀드 몰아주기에 대해서도 관리감독이 강화된다.

지금처럼 전체 계열사 비중을 한꺼번에 공시하는 것이 아니라 공모 부분을 별도로 공시하거나 머니마켓펀드(MMF)를 제외한 실질적인 부분을 비교 공시하는 방안 등이 검토되고 있다.

금융당국이 지난 7월 계열 자산운용사 펀드를 판매한 직원에게 인사고과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을 금지했지만 계열사 펀드 몰아주기 관행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펀드 판매사 10곳의 계열사 판매 비중은 8월 말 평균 55.4%로 규제가 나오기전인 6월 말 55.7%에서 큰 변화가 없다. 판매사 별로는 계열사 판매 비중이 오히려 커진 곳도 있다. 국민은행의 계열사 판매 비중은 6월 말 52.2%에서 8월 말 53.3%로 높아졌고, 하나은행 50.4%에서 51.4%로, 우리은행 38.9%에서 39.1%로 각각 커졌다.

hu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