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내 유통되는 버섯, 안심하고 드세요!
[헤럴드경제= 이태형 기자] 국내 유통 중인 버섯류가 국제기준에 비해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이 국내 유통 중인 생물 및 건조 버섯류 17종, 536건의 중금속 오염실태를 조사한 결과, 버섯을 통한 중금속 노출량(섭취량)은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에서 설정한 섭취한계량 대비 0.03%~0.37%에 불과했다.

생버섯은 송이버섯의 납함량이 평균 0.026ppm으로 제일 높았고, 가장 낮은 것은 큰느타리버섯(0.005ppm)으로 조사됐다. 건조버섯은 석이버섯이 평균 16.411ppm으로 가장 높은 납함량을 보였고, 느타리버섯이 0.014ppm으로 낮게 나타났다.

특히 석이버섯은 납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나 석이버섯 섭취를 통한 실제 납 섭취량은 0.007㎍/day으로 잠정주간 섭취한계량(PTWI) 대비 0.03% 수준으로 조사됐다.

잠정주간 섭취한계량(PTWI)은 일생동안 먹더라도 유해한 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체중 1kg 당 주간 섭취한계량으로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에서 안전성 평가를 거쳐 설정한다.

버섯 섭취를 통한 카드뮴 섭취량은 0.168㎍/day으로 잠정월간 섭취한계량(PTMI) 대비 0.37% 수준에 불과했다.

식약청은 이번 오염실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인들이 주로 섭취하는 느타리, 큰 느타리, 양송이, 팽이, 표고, 송이, 목이버섯에 대해 중금속 기준(납 0.3mg/kg 이하, 카드뮴 0.3mg/kg이하)을 설정해 행정예고 할 예정이다.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