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불산취급 업체 수도권도 안전지대 아니다
[헤럴드경제= 서상범 기자] 경북 구미일대를 공포로 휩쓸고 있는 불산(불화수소산)가스 취급업체가 수도권에도 다수 존재하고 있어 관련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환경과학원 화학물질 배출이동량정보에 따르면 2010년 기준으로 연간불산취급량이 10t 이상인 인천ㆍ경기 등 수도권 소재 사업장은 경기 부천시 원미구의 동부하이텍 반도체부문 부천공장을 비롯해 총 15곳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자료에 나타나지 않은 10t 미만 취급업체를 포함하면 수백 개의 불산취급 업체가 수도권에 존재하며 만약 누출사고가 발생할 경우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김정수 시민환경연구소 부소장은 “불산은 독극물로 취급되는 강한 유해성을 가진 물질이며 강한 확산력을 가지고 있어 인구가 밀집한 수도권일대에서 누출사고가 발생하면 큰 피해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이에 대한 관계기관의 대책은 부실한 상황이다. 행정안전부는 올해 2월 유관기관들과 화학물질 누출사고 대응 매뉴얼을 마련했지만 이번 구미사고에서 무용지물로 전락했다.

초동조치가 중요한 소방대책은 더욱 심각하다. 소방재난본부 방호예방과 관계자는 “현재 소방서별로 2~3종류의 중화제만 보유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실제 공장에서 쓰이는 유해화학물질 종류만큼 다양한 중화제를 보유하지 않으면 사고에 제대로 대처할 수 없는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구미사고에서 불산에 특성에 맞는 중화제를 살포하지 않고 물을 뿌리는 것으로 대응한 것이 드러나 초기대처의미흡함이 지적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문종욱 한국국제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전문화학소방팀을 운영해 적극적으로 화학물 유출사고에 대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tig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