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산가족신청자 10명 중 4명 사망...이산가족 상봉 MB정부 2차례에 그쳐
[헤럴드경제=박도제 기자]남북관계 경색으로 이산가족 상봉 중단이 이어지는 가운데 이산가족신청자 10명중 4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남윤인순 민주통합당 의원이 대한적십자사가 제출한 국정감사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1988년 이후 이산가족신청자 12만8747명 중 41%인 5만2744명이 사망했다. 또 70세 이상 생존자 6만271명 중 상봉자수는 3.27%에 불과했다.

이에 대해 남윤인순 의원은 “MB정부 출범 후 남북관계가 악화, 2010년 18차 상봉 이후 이산가족상봉이 현재까지 중단되어 초고령의 이산가족신청자들이 그리운 가족들과 상봉의 기회조차 갖지 못한 채 운명을 달리하고 있는 안타까운 일이 계속되고 있다”며, “어떠한 어려움이 있다 하더라도 인도적 차원의 남북교류협력은 지속되어야 하며, 이제부터라도 정부가 결자해지 차원에서 남북관계를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이산가족상봉이 재개될 수 있도록 노력하라”고 촉구했다.

8월말 현재 이산가족 생존자는 7만6003명으로 이중 남자는 63.9%인 4만8537명이었고 여자는 36.4%인 2만7466명이었다. 연령별로는 90세이상이 7.5%인 5714명, 80대가 38.7%인 2만9444명, 70대가 33.1%인 2만5113명, 60대가 12.3%인 9361명, 59세이하는 8.4%인 6371명 등으로 70세 이상의 고령자가 79.3%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또 ‘역대 정부별 남북적십자간 교류협력 추진실적’에 따르면 이산가족상봉의 경우 ▷국민의정부(1988~2002) 기간에는 대면상봉 5차례, 생사확인 2차례, 서신교환 1차례 ▷참여정부(2003~2007) 기간에는 대면상봉 11차례, 화상상봉 7차례 등 활발한 교류협력을 추진한 반면 ▷현 정부(2008~2012) 기간에는 대면상봉 2차례에 불과했으며, 2010년 11월 상봉 이후 이산가족상봉이 중단된 상황이다.

대한적십자사는 지난 2월14일 북측에 이산가족상봉을 위한 남북적십자 실무접촉을 제의하였으나, 북측이 통지문 수령을 거부하였고, 8월8일에도 북측에 추석계기 이산가족상봉을 위한 남북적십자 실무접촉을 제의하였으나 다음날인 8월9일 북한적십자회는 5.24 해제 및 금강산 관광과 연계하여 사실상 거부를 회신한 바 있다.

pdj2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