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미디어 혁명적 변화 반영…예술의 새 패러다임 제시
유진상 ‘…서울2012’ 총감독
인터넷이 처음 등장했던 1990년대 중반만 해도 사람들은 ‘그런 게 없이도 별 문제없이 살 수 있다’고 단언했다. 하지만 요즘은 정반대다. 사람들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다는 것이 근본적인 불평등을 낳는다고 생각한다. 그 인터넷이 예술과도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됐다. 중동의 시민혁명을 촉발한 페이스북이나 ‘즉각적 민주주의’라는 용어를 만들어낸 트위터, 일본의 3ㆍ11 재난을 실시간으로 보여준 유튜브가 요즘 들어서는 예술가들에 의해 진지하게 다뤄지고 있다.

우리가 예술이라 부르는 활동은 이제 그림을 그리거나 조각을 만드는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오늘날의 예술은 이 세계 안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대상으로 한다. 그 핵심에 미디어와 기술의 혁명적 변화가 자리잡고 있다. 따라서 예술이 근본적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개될 것임은 분명하다. 다만 예술가들은 새로운 기술 그 자체보다 그것이 불러올 사고의 전환이나 환경의 차이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 그런 점에서 SNS는 현재 가장 많은 이슈를 만들어내고 있는 기술이다. ‘미디어시티서울2012’는 미디어아트가 기술에 관한 예술이 아니라는 점을 보여주는 미술제다. 미디어아트는 이 시대를 살고 있는 인간의 삶과 생각에 관한 예술이다. 사실 미디어아트는 좀 어려워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설명이 필요하다. 올 미디어시티서울은 가이드맵, 오디오가이드, 웹사이트, 앱 어플 등으로 작품의 내용과 의미를 보다 자세히 서비스하고 있다. 관객들이 작품을 충분히 이해하고 직접 참여하며 이 축제를 마음껏 즐겼으면 한다.

계원예술대 교수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