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현대硏 “체감물가 상승률, 지수물가보다 4배 이상 커”
[헤럴드경제=하남현 기자]최근 물가상승률이 1~2%대로 낮은 수준이지만 국민이 피부로 느끼는 물가 불안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7일 ‘지수경기는 디플레이션, 체감경기는 스태그플레이션’ 보고서에서 “지수물가 상승률은 8월 1.2%(전년 동기 대비)였지만 체감물가 상승률은 4배가 넘는 5.0%에 달해 괴리가 매우 크다”라고 지적했다.

이는 연구원이 9월 13~19일 전국 성인남녀 1013명을 설문한 결과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93.1%가 최근 물가가 불안하다고 답했다. 물가가 안정됐다는 답은 6.5%에 불과했다.

불안심리는 소득수준을 가리지 않았다. 가구 소득이 월 600만원 이상인 고소득층에서도 물가가 불안하다는 답이 87.6%에 달했다. 월 소득 200만원 미만인 저소득층(90.6%)과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지출이 소득보다 많은 적자가구에선 체감물가 상승률(5.4%)이 더 크게 나타났다. 특히 적자가구 중 소득 200만원 미만이 느낀 물가상승률은 5.9%, 고령층(50대 이상)의 체감물가 상승률은 6.1%에 달했다.

적자가구와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체감 고물가에 따른 경제심리 위축이 심각하다는 것이다.

물가 때문에 생계에 부담을 느끼느냐는 질문에 전체가구의 79.0%가 그렇다고 답했고 적자가구에선 88.7%에 달했다. 물가 때문에 소비가 위축된다는 응답 역시 적자가구(82.1%)가 전체 평균(71.6%)보다 많았다.

이 위원은 “지수물가와 체감물가의 괴리가 지수경기와 체감경기의 괴리로 이어지며 정부의 경기활성화 대책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우리 경제가 지표상으로는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떨어지고 물가상승률도 하락하는 ‘디플레이션’ 특성을 보인다면,국민이 실제로 느끼는 경기는 성장부진과 함께 물가도 치솟는 ‘스태그플레이션’이란 것이다. 이 때문에 당국이 물가가 낮다는 ‘눈먼 지표’만 갖고 통화ㆍ내수촉진 정책을 펼치다가는 서민의 경제적 고통만 가중시킨 채 실패로 끝날 수도 있다는 주장이다.

이 위원은 “체감물가를 낮추는 방법으로 응답자의 46.5%가 ‘유통구조 효율화’를 꼽았다”며 “정부는 농수산물 유통단계를 축소하고 계층별 체감물가를 파악해 발표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airins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