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기업 2곳 중 1곳 “FTA 가장 시급한 곳은 중국”
[헤럴드경제=김영상 기자]기업들은 우리나라가 체결해 발효중인 자유무역협정(FTAㆍ8건ㆍ45개국)이 세계경제 침체 속에서 수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있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향후 중국, 일본 및 신흥국, 자원국과의 지속적인 FTA 추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경련이 한ㆍ미 FTA 발효 6개월을 맞아 수출입기업 258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서 나온 것이다.

유럽 재정 위기로 촉발된 세계경제 둔화로 10개 기업 중 6곳(58.5%)의 수출입 실적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감소율 평균 15.1%), 응답기업의 62.4%는 거대경제권과의 FTA인 한ㆍEU, 한ㆍ미 FTA가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도움이 된 이유는 비용 감소 및 통관애로 해소(52.2%), 수출 증가 및 판로 개척(18.0%), 경쟁력 강화(15.5%) 순이었다. 도움이 안 된 이유는 해당지역 거래 없음(35.1%), FTA 실효성 미미(26.8%), 세계경제 둔화로 인한 수출 감소(12.4%), FTA 효과 체감에 다소 시간 소요(11.3%) 순이었다.

기업들은 가장 성공적인 FTA로 시장 잠재력이 큰 개도국이라는 점에서 아세안(ASEANㆍ34.5%)을 꼽았으며, 거대 선진경제권과 포괄적이고 높은 수준의 FTA라는 점에서 EU(25.2%)와 미국(16.3%)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FTA 지속 추진에 대해선 ‘필요하다’는 응답이 87.2%로 압도적이었다. 향후 시급한 FTA 추진이 필요한 국가(복수응답)로 인접국이자 교역량이 많고 시장이 큰 중국(45.0%)이 최다로 꼽혔다. 일본(19.0%),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13.9%) 및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 중남미(13.3%) 등 잠재력이 큰 신흥시장과 사우디아라비아, UAE 등 GCC지역(10.9%), 호주(7.0%) 등 자원 부국과의 FTA 추진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체결한 FTA에 대해 아쉬운 점으로는 FTA 활용을 위한 지원 부족(34.9%)에 이어 다양한 보호 방식의 설정(17.4%), 관세율의 장기 소폭 인하(16.7%) 등이 거론됐다. 이에 따라 FTA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후 지원은 물론 FTA 체결 범위 및 관세 즉시ㆍ완전 철폐 품목의 확대 등 포괄적이고 높은 수준의 FTA가 필요함을 시사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이번 설문조사를 통해 우리나라가 체결한 FTA가 세계 경제 침체 속에서 수출입 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향후 중국, 일본 및 신흥시장과 FTA를 적극 추진하는 한편, 기업 수출 지원, 활용률 제고, 비관세 장벽 철폐 등을 통해 FTA의 효과를 더욱 높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ys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