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화케미칼, ‘고부가가치’ EVA 생산 연 16만t으로 확대
고함량 플랜트 4만t 증설…태양전지 등에 사용 


[헤럴드경제=신상윤 기자]한화케미칼(009830)이 태양전지 등에 사용되는 고부가가치 특화제품인 고함량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EVAㆍEthylene Vinyl Acetateㆍ사진) 생산을 연 16만t으로 확대한다.

한화케미칼은 18일 EVA 4만t을 생산할 수 있는 플랜트를 울산 상개동 제1공장에 증설하고 준공식을 가졌다. 이번 증설로 국내 EVA 생산 능력이 연간 16만t이 되고, 이에 따른 추가 매출 효과는 1000억이 될 것으로 한화케미칼은 내다봤다.

한화케미칼은 글로벌 석유화학업계가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 감소 ▷에틸렌 가격 상승에 따른 원가 압박 ▷중동산 저가 제품의 점유율 확대로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고부가 특화제품의 생산 확대로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고함량 EVA는 코팅, 태양전지용 시트, 핫멜트(접착제)의 원료로 사용된다. 고함량 EVA는 범용제품보다 부가가치가 높아 안정적인 수익이 가능하다고 한화케미칼은 설명했다.

고도의 기술력이 필요한 고함량 EVA는 한화케미칼과 미국의 듀폰, 일본의 토소 등 세계적으로 생산하는 기업이 한정돼 있다. 1985년 국내에서 처음 EVA를 생산한 한화케미칼은 저함량에서 고함량까지 모든 종류의 EVA를 생산할 수 있다.

한화케미칼 관계자는 “이번 EVA 공장 증설이 셰일가스 기반의 저렴한 제품 유입에 따른 원가 경쟁력을 강화할뿐 아니라 100% 자체 기술로 건설함으로써 투자비, 운영비를 절감하고 수출 가능성도 기대할 수 있다”며 “특히 태양광 시장이 성숙해질수록 고품질 EVA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 관련 사업의 시너지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전했다.

한화케미칼은 사우디아라비아의 민간 석유업체인 시프켐과 합작해 EVA와 합성수지(LDPE) 병산 20만t을 생산할 수 있는 플랜트를 사우디아라비아 북부 주베일 석유화학단지에서 건설 중이다. 이 플랜트는 내년부터 양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한화케미칼은 국내에서는 고부가 특화제품 생산을 늘리고 사우디에서는 세계 최고의 원가 경쟁력을 바탕으로 범용제품 생산에 주력하는 이원화 전략을 펼칠 계획이다.

k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