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형 사회적기업도 양극화 뚜렷
[헤럴드경제=황혜진 기자]취약계층에게 일자리와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울시가 지난 2010년부터 사회적기업을 육성하고 있지만 이들 사이에서도 양극화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총 6차례에 걸쳐 411개의 서울형 사회적기업을 지정했으며 현재 이중 230곳(60%)에 대해 지원하고 있다. 사회적기업 유형에는 ‘일자리제공형’과 ‘사회서비스제공형’, 두가지 유형이 혼재된 ‘혼합형’이 있다.

12일 서울연구원의 ‘서울형 사회적기업 실태조사 및 성과평가’ 리포트에 따르면 서울형 사회적기업 1013곳의 총매출액 중 59.8%를 상위 3개 기업이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이들 서울형 사회적기업의 총매출액은 893억1494만1000원이고 매출원가는 351억3100만2000원, 당기순이익은 -6429만9000원이었다. 이 중 상위 3대 기업의 매출액은 전체의 59.8%인 533억1732만2000원이었고, 10대 기업의 비중도 647억2086만6000원으로 72.6%를 차지했다.

보고서를 낸 조달호 서울연구원 연구위원은 “상위 9개 기업은 당기순이익이 1억원 이상이지만 기업 전체로평균 6429만9000원의 순손실을 기록한 점을 고려하면 나머지 기업들은 이익을 내지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사회서비스제공형 사회적기업들이 일자리제공형, 혼합형보다 경제 성과가 취약했다.

대부분 기업이 정부지원금과 같은 영업 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연구원 관계자는 “특히 사회서비스 제공형 기업의 경우 정부지원금 등 영업외이익이 영업이익의 2배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됐다”며 “특히 사회서비스 제공형의 경우 정부지원금 없이는 자생이 힘들 정도”라고 말했다.

취약계층의 고용이 업종별로 편중된 현상도 나타났다. 서울형 사회적기업의 유급근로자 전체 1649명 중 53.49%인 882명이 취약계층으로 조사됐지만 물류택배, PCㆍ소모품, 보건, 음식료 제조 등 분야에 한정된 경우가 많았다.

취약계층 고용률이 물류택배업의 경우 91.3%, PCㆍ소모품은 80%, 보건은 73.3%로 비교적 높았지만 문화예술은 20%, 보육은 27.3%, 교육은 35.3%에 그쳤다.

취약계층보다 더 많은 일반인이 사회적기업이 제공하는 사회서비스를 받고 있다는 점도 문제로 평가됐다. 조사결과 서울형 사회적기업이 제공하는 사회서비스의 혜택을 보는 일반인은 72만 4000명으로 취약계층(30만6000명)의 2배 수준을 웃돌았다.

조달호 연구위원은 “서울형 사회적기업으로 지정되면 시가 1년차에 인건비의 90%를, 2년차에 60%를 일률적으로 지원해왔지만 성과평가에 따라 맞춤형 지원을 해야 한다”면서 “일자리 제공형보다 사회서비스 제공형에 더 많은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hhj6386@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