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이공계 홀대, 곧 땅 치며 후회할 일이다
국가 기술경쟁력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 원천기술 부족으로 기술무역적자폭이 커지는 것이 우선 걱정이다. IT(정보기술) 분야에서만도 연간 외국에 지급하는 로열티가 수조원을 넘는다. 우리 스스로 IT강국을 외치지만 기술경쟁력 지표인 기술무역수지배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 중 최하위다. 기술무역으로 미국은 우리에게 30배, 일본은 8배를 거꾸로 거둬간다. ITㆍ자동차ㆍ전자 등 효자 부문도 기술종속에 예외가 아니다.

우리 사회의 고질적인 이공계 기피현상이 문제다. 97년 외환위기가 그 출발점으로, 경기침체가 극심해지면서 살인적인 기업 구조조정이 현실화하자 대입시마저 적성보다는 경제적 안정을 우선하는 풍조가 만연했다. 골 깊은 불황에 기업들이 우선 감원대상으로 연구기술진을 택한 것이 1차적 패착이었다면, 이를 막지 못한 정부의 안이한 정책운용이 사태를 키운 꼴이다.

이런 현상이 10년을 훨씬 넘도록 지속되니 원천기술 빈약은 뻔한 결과다. 올해 초 서울대 수시에서 컴퓨터공학과에 최연소 합격한 영재가 결국 연세대 치대로 진로를 튼 것이 우리 사회의 자화상이다. 교육과학기술부 자료를 보면 과학ㆍ영재고 학생이 대학생, 대학원생, 이공계 종사자로 성장할수록 이공계 홀대에 대해 심각하게 인식한다고 한다. 어린 시절 꿈이 현실의 벽에 부딪혀 산산이 깨진다는 것과 다르지 않다.

이 정도나마 우리 기술이 경쟁력을 갖춘 것도 70년대의 기술보국 기치와 80년대 대덕단지 조성 등 정부의 전폭적인 기술지원정책의 산물이란 것은 부인하기 어렵다. 이대로 가면 삼성전자와 코오롱 사태처럼 특허전쟁에서 판판이 당하고 말 것이라는 자조적인 목소리가 높아지는 것은 당연하다. 만성적인 눈덩이 대일 무역역조 역시 핵심 기계부품과 신소재 분야에서 일본에 지배당한 결과 아닌가.

우선 기술인들의 자긍심 회복이 급선무다. 의사ㆍ변호사 등 여타 전문직에 비해 낮은 처우가 문제인 것도 지난 얘기일 뿐 박사급 연구원이 대기업 학사에 밀리는 현실이다. 기술진에 대한 처우개선부터 과감하게 하고 특허 등 기술 보유 정도에 따라 병역특례 등 특전도 부여하기 바란다. 중국의 국가지도층 주류가 칭화대 등 이공계 출신이란 점은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기업들도 GE 등 선진기업처럼 맞춤형 인재 양성 등 특단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늦게나마 대기업들이 서울 근교에 대규모 연구단지를 조성하고 우수인력 확보에 힘 쏟는다니 다행이다. 더 나서지 않으면 머지않아 땅 치고 후회할지 모른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