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對日거래기업 12% “한일갈등으로 피해 봤다”…장기화땐 65%로 피해 번질 듯
[헤럴드경제=김영상 기자]최근 한일관계 악화로 인해 일본과 거래하는 국내기업 10곳 중 1곳이 피해를 입고 있으며, 양국간 갈등이 장기화될 경우엔 10곳 중 6곳으로 피해가 번질 것이라는 조사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대일거래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최근 한일관계 변화의 산업계 영향과 대응과제 조사’ 설문 결과에 따르면, 한일관계 악화로 교역차질과 매출감소 등의 피해가 있는가라는 질문에 12.0%가 ‘현재 피해를 입었다’고 답했다. 88.0%는 ‘아직까지 피해가 없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한일갈등이 장기화될 경우에는 64.7%가 ‘피해를 입을 것’이라고 답했다. ‘피해가 없을 것’이라는 답은 35.3%였다.

업종별로는 현재까지 ‘관광업’의 28.6%, ‘일본수입차 딜러업’의 25.8%, ‘식품업’의 20.6%, ‘휴대전화ㆍ가전제조업’의 5.6%, ‘문화콘텐츠업’의 4.3%가 피해를 본 것으로 조사됐다.

한일간 냉랭한 관계가 길어지면 ‘관광업’의 83.3%, ‘일본수입차 딜러업’의 80.6%, ‘문화콘텐츠업’의 73.7%, ‘휴대전화ㆍ가전제조업’의 69.5%, ‘식품업’의 64.7%가 피해를 겪을 것으로 조사됐다. 관광업의 위기감은 실제 최근 일본인 단체관광 예약취소 등의 직격탄을 맞고 있는 상황을 대변하고 있어 보인다.

문제는 기업으로선 뾰족한 수가 없다는 것이다. 한일관계 악화에 따른 대응조치가 있는지를 묻자 ‘없다(94.4%)’가 대다수였다.

다만 양국간의 중장기적 우호관계 전망에 대해서는 ‘다시 예전수준으로 회복될 것’(77.0%)이 ‘이번 사태를 계기로 나빠질 것’(19.6%)이라는 답보다 많았다.

박종갑 대한상의 조사2본부장은 “과거사 및 영토문제와 관련한 갈등 때문에 한일 양국 모두 피해를 입고있고 향후에도 재발될 가능성이 높다”며 “우리정부는 피해기업에 대한 지원대책을 마련해야 하며, 일본 측에선 양국간 공존공영을 위해 전향적이고 성숙된 자세를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ys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