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8대 감염병, 정부가 잡는다.. 2040년까지 세계최고 기술 확보
[헤럴드생생뉴스]신종 인플루엔자, 슈퍼박테리아, 결핵, 에이즈(AIDS) 등 8대 감염병 분야에서 2040년까지 세계 최고 기술을 확보하려는 범정부 차원의 연구개발(R&D)이 본격화한다.

정부는 7일 과천청사에서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위기관리대책회의를 열어 이런 내용의 2012~2016년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개발 추진전략안을 확정했다.

기후변화 등으로 감염병 위험이 커진 상황에서 감염병의 대유행이 발생하면 국가 경제에 위기를 가져오고 국가신인도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실제 우리나라의 판데믹(대유행) 위기지수는 영국의 위기관리 자문기관인 메이플크로프트로부터 ‘매우 위험’ 등급으로 평가됐다. 한국의 감염병 R&D 투자는 2010년 기준으로 미국의 1% 수준에 불과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신ㆍ변종 감염병에 조기 대응하기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역량을 확보하고 범부처 협력을 강화해 R&D 실효성을 높이고자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1단계인 2016년까지 8대 분야에 대해 집중투자한다.

법정 감염병 75종 114개 중에 기술개발이 시급한 8가지는 ▷신종 인플루엔자 ▷다제내성균(슈퍼박테리아) ▷결핵 ▷인수공통감염병(브루셀라, 공수병 등) ▷만성감염질환(AIDS, 간염) ▷기후변화 관련 감염병 ▷생물테러 ▷원인불명 감염병 등이다.

국내 결핵과 B형간염 발생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많다. 생물테러 위협 병원체에 대한 고감도 실시간 탐지기술과 백신ㆍ치료제 개발도 필요하다고 정부는 판단했다.

병원내 감염예방기술, 질병진단용 바이오칩이나 인체영상기술 개발, 에이즈 완치기술 등이 중점기술로 개발될 전망이다.

발생-인지-대응-치료에 걸친 모든 주기에 걸친 단계별 연구를 현안 질병 중심에서 통합적인 대응 구조로 전환한다. 동물감염실험 등 생물안전연구 인프라를 확충하고 공동 활용을 위한 네트워크도 구축한다.

이를 위해 2010년 질병관리본부장을 위원장으로 출범한 ‘범부처 감염병 R&D 추진위원회’의 실효성을 높여 부처 간 협력과 조정을 활성화한다.

기존 기획재정부,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농림수산식품부, 지식경제부 외에 환경부가 기후변화나 인수공통 감염병 대응을 강화하고자 추가로 참여한다. 또 국가과학기술위원회, 행정안전부, 국방부, 국가정보원 등의 위원회 참여도 검토한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