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도시계획, 앞으론 시민들이 직접 짠다
[헤럴드경제=황혜진 기자]기존 서울의 도시계획수립이 공무원 중심으로 이뤄졌다면 앞으로는 전문가와 시민들의 의견이 핵심요소로 반영된다. 또 토지, 환경, 교통 등 부문별 계획이 아닌 당면 이슈를 선정해 종합적 토대에서 전략을 세우는 사안별 계획수립방식으로 바뀐다.

서울시는 29일 이 같은 내용을 핵심으로 한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을 내놨다.

계획에 따르면, 시는 총괄 책임계획가(MP,Master Planner)를 임명해 도시계획수립 시 전문가의 참여를 보장하고 100명의 ‘서울플랜 시민참여단’과 16명의 ‘청소년 참여단’을 계획수립때 참여시켜 전문성과 함께 시민들의 눈높이를 반영할 계획이다.

시는 우선 1단계로 올해 10월까지 ‘서울플랜 시민참여단’의 숙의를 통해 미래서울의 비전 및 핵심이슈를 선정한다. 이어 2단계에서 시민, 전문가, 공무원이 참여한 가운데 분과별 핵심이슈를 선정, 내년 상반기까지 추진전략 작성을 마무리할 방침이다.

이 모든 과정을 총괄할 책임계획가(MP)로는 권원용 서울시립대 명예교수가 워촉됐으며 권원용 명예교수는 계획안 작성에 대한 총괄적인 책임과 권한을 갖게 된다.

이번 계획의 가장 큰 특징은 시민의 참여가 대폭 확대됐다는 점이다. 시는 서울의 주인인 시민들이 직접 도시계획수립에 참여할수 있도록 100명으로 구성된 ‘서울플랜 시민참여단’을 선정한다. 선정방식은 ‘무작위 전화표집방법’으로, 19세 이상 직장인, 주부, 학생,노인, 외국인 등 서울 시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수 있도록 했다. 미래서울시민인 청소년의 의견을 담기 위해 ‘청소년 참여단’(16명)도 별도 구성한다.

‘시민참여단’과 ‘청소년 참여단’은 내달 1일 서울시청 대회의실에서 예비회의와 위촉식을 갖고 10월 6일~8일까지 2박3일간의 본회의를 통해 비전과 핵심 이슈를 도출할 예정이다. 본회의는 시민들이 다양한 입장을 가진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고 이슈에 대해 합의해나가는 ‘숙의’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렇게 작성된 보고서는 시에 전달돼 총괄 MP과 전문가, 시민,분야별 시민그룹 등이 검토한 뒤 최종 계획안에 반영된다.

시는 계획수립과정에 일반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 시민참여단’을 구성하는 한편, 논의과정을 시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고 SNSㆍ게시판을 통해 시민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이달 31일과 9월 5일, 13일, 18일, 27일 등 5차례 회의를 거쳐 시민들과 서울의 미래상에 대해 머리를 맞대는 시간도 갖는다.

문승국 시 행정2부시장은 “가능한 많은 전문가, 시민들의 역량과 지혜를 모아 20년 앞은 물론 지속가능한 미래에 대비할수 있는 도시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

hhj6386@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