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일항쟁기 위원회, 전후 국내 강제동원된 징용자 901명의 사망 실태 공개
[헤럴드경제= 서상범기자] 국무총리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희생자 등 지원위원회(대일 항쟁기 위원회)는 국내 강제동원 피해결정자 2만3514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징용 사망자 901명의 사망실태 결과를 29일 공개했다.

이명수 선진통일당 의원의 요청으로 대일항쟁기 위원회가 공개한 이번자료에 따르면 사망자의 17.8%인 161명이 18세 이하의 미성년자였고 14세 이하 아동도 3.4%인 35명에 달했다.

60대 이상의 노인도 9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공개된 사망자 중 전남 곡성 출신의 김병현(75) 씨는 동상에 걸린 아들 대신 개성으로 징용된 지 8개월만인 1945년 7월 22일에 공습으로 사망했다.

또 경북 상주 출신의 10살 소녀 김순낭은 부산의 방적공장에서 일하던 중 병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망자들은 주로 토목건축공사장과 탄광산에서 숨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자의 93%가 충청 이하 한반도 남부 지역 출신이었고 사망자 65%는 한반도 북부 지역에서 사망했다.

위원회는 사망자의 32.97%인 297명이 유해를 수습하지 못했고, 특히 202명은 출신지역과 거리가 멀어 유해 수습을 할 수 없었기 때문에 유해수습 및 유가족의 묘소 참배 등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1947년 일본 대장성이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한반도에서 군수물자 생산과 인프라 건설을 위해 동원한 한국인 인원은 총 648만명에 달한다. 이들은 일본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강제동원 피해자다.

이들은 한반도 각지 7천여개가 넘는 광산과 탄광, 군수공장, 발전소공사장 등지에서 강제노동을 해야 했고, 미쓰이와 미쓰비시 등 일본 유수의 전범기업들이 이들을 착취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tig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