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그림 그린다는 건…“어떤 힘에의 도전”
고국전 여는 白壽의 재불화가 한묵
“그림을 그린다는 건 보이지 않는 그 어떤 ‘힘’에의 도전이라 생각한다.”

한국 현대미술사의 산증인인 재불 화가 한묵(韓默)이 한국을 찾았다. 올해 우리 나이로 아흔아홉 세인 화백은 자신의 도불 51주년을 기념하는 전시를 위해 파리에서 날아와 기자들과 만났다.

올해 백수(白壽ㆍ99세)를 맞은 노 화백은 귀가 잘 들리지 않는 걸 빼곤 건강했다. 특히 목소리는 청년처럼 쩌렁쩌렁 했다. 요즘은 체력이 달려 큰 작업은 못하지만 아침에 일어나면 붓을 잡고 글씨를 쓰며, 책을 읽곤 한다.

그가 10년 만에 서울 신사동 갤러리현대 강남에서 갖는 고국전(8월 22~9월 16일)에는 미발표작 4점을 포함해 유화 40여점이 나온다. 작고 갸날픈 체구에 어떻게 저런 큰 그림을 그렸을까 의아스러울 정도로 출품작은 대부분 대작이다.


한묵 화백의 삶에는 우리 근현대사가 고스란히 투영돼 있다. 서울 출생인 그는 20대를 만주에서 보냈고, 이후 일본의 가와바타미술학교를 다녔다. 귀국 후에는 금강산 및 고성 일대에 머물며 원산에 살던 이중섭 화백과 가깝게 지냈다. 이따금 이중섭과의 금강산여행을 떠올리곤 하는 그는 두 살 아래인 이중섭이 마흔의 나이에 요절하자 비문을 쓰기도 했다.

1ㆍ4후퇴 때 남하한 그는 종군화가로 한국전쟁을 스케치했으며, 이후 고향에 터전을 잡았다. 그러나 1961년 안정된 미대 교수직을 버리고, 불쑥 파리로 건너갔다. 거의 맨주먹으로 떠나는 바람에 생계를 위해 청소부며 식당 아르바이트를 하며 그림을 그렸다. 대작을 그리고 싶어도 집이 너무 좁아 이곳 저곳을 전전해야 했다. 그래도 그는 기(氣)가 시퍼랬다. 예술가로서 영감을 얻으면 몇 달 몇 년을 매달려 작업을 풀어가곤 했다.

아폴로11호가 달착륙을 하자 쇼크를 먹어 3년간을 끙끙 앓은 그는 “2차원인 화폭에 어떻게 하면 3차원, 4차원을 담을 수 있을까 번민했고, 그게 일생의 내 화두가 됐다”고 했다. 회화 속 ‘공간’의 문제에 천착한 그는 역동적 우주공간을 방사상으로 뻗어가는 그림으로 ‘한국 기하추상의 대부’라는 별칭을 얻었다.

100세를 앞두고 화가로서 행복했느냐고 묻자 “나는 지금 죽음 가운데에 있고, 그러면서 살고 있는 것”이라며 “죽음이라는 건 누구나 예외없이 만나는 것이고, 그냥 때가 오면 간다고 생각한다. 심각할 게 없다”고 말했다. 옆에 있던 부인(80)은 “언제나 ‘붓대 들고 씩 웃으며 가고 싶다’고 하신다”고 덧붙였다. 


글·사진=이영란 선임기자/yr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