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뜨거워진 한반도’ 농작물 지도 바뀌었다
[헤럴드경제=신창훈 기자]한반도의 농작물 재배 지도가 바뀌었다. 기온이 올라가면서‘제주 감귤’,‘청도 복숭아’,‘경산 포도’,‘대구 사과’ 등과 같은 지역 특산물개념이 없어졌다.

13일 통계청과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국내 대표적인 아열대 작물로 제주도에서만 생산된 감귤 재배지가 전남, 경남 등 내륙으로 이동한 지 오래됐다.

지난해 제주의 감귤 재배지는 2만1363㏊로, 전체 재배면적(2만1424㏊)의 99.7%를 차지했다.

하지만 경남이 감귤 재배에 나서 2007~2011년 재배면적이 10㏊ 이상을 유지했다. 전남 역시 2000년대 들어 감귤을 신특화작물로 재배하면서 2005년에 재배면적 75㏊를 기록했다.

경북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던 복숭아는 이제 충북, 강원 등에서도 재배할 수 있다.

재배 면적 추이를 보면 충북은 1990년 1184㏊에서 1999년 2000㏊를 돌파한 이후 올해 3743㏊까지 늘었다. 20여 년 사이 세배 이상으로 확대된 것이다.

포도 재배지 역시 북상했다. 포도의 주산지인 경북은 지난해 8306㏊로, 가장 넓었던 1998년(1만3703㏊)보다 39.4% 급감했다.

1990년대에 100㏊ 내외였던 강원은 2002년에 200㏊를 넘어 2008년엔 371㏊까지 확대됐다.

온대 과일인 사과는 기온이 오른 탓에 재배면적이 감소하고 있다. 사과 주산지인 경북은 1992년 3만6355㏊로 역대 최고치에 올랐다가 지난해 1만9024㏊로 반 토막 나다시피 했다.

그러나 강원지역은 사과 재배면적이 2007년 114㏊에서 올해 434㏊로 최근 들어 네 배 가량 급증했다.

가을감자의 재배지는 온난화 영향으로 확산하고 있다. 강원도에서도 감자 2모작을 해 강원지역의 가을감자 재배면적이 1990년대 초반 전혀 없다시피 하다가 2000년대 들어 연평균 42㏊로 늘었다.

전북은 1990년 중반부터 전남을 추월하고 최근엔 전남의 두 배 가량으로 차이가 났다. 지난해 기준 전북은 839㏊, 전남은 490㏊였다.

통계청 관계자는 “온난화에 대응해 기존 품종을 재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아열대의 신품종을 국내에 도입해 정착시키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chuns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