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갈릴레오의 주문’에서 벗어나라
지난달 4일 유럽입자물리연구소가 힉스 입자(Higgs boson)로 추정되는 소립자를 발견했다고 발표한 이래로 세계의 물리학계는 흥분에 휩싸여 있다. 과연 ‘신의 입자’라 불리는 힉스 입자는 우주의 탄생이란 신비의 베일을 벗겨낼 수 있을까.

‘다시 만들어진 신’(사이언스북스)의 저자인 복잡성 과학의 대가, 스튜어트 카우프만의 생각은 다르다. 저자는 우주 속 모든 입자들의 위치와 속도를 알아낸다면 우주의 미래와 과거를 계산할 수 있다는 환원주의 패러다임을 버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갈릴레오 이래 환원주의는 과학을 공고히 하는 데 결정적 공헌을 했지만 자연의 주체성과 풍성한 창발성 등을 설명하는 것에는 역부족이란 것이다. 오히려 저자는 자연 법칙으로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다는 신념 즉 ‘갈릴레오의 주문’을 벗어나야 과학의 새 지평이 열린다고 말한다.

“자연은 법칙의 ‘지배를 받지만’ 부분적으로 자연 법칙을 넘어선다”해서 저자는 예측 불가능한 창발성과 창조성을 가진 자연에게 ‘신(神)’이라는 이름을 부여하자고 제안한다. 우주의 신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윤리와 문명을 만들어나갈 때 성(聖)과 속(俗)의 갈등,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분열 등을 치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연을 신으로 옹립하려는 저자의 시도는 자못 도발적이다. 과학으로 재정립한 신성이, 비록 진화론을 교과서에서 몰아내려는 이들을 설득하긴 어려우나 과학과 종교가 함께 발 디딜 자리를 마련하자는 저자의 견해는 여러 면에서 신선하고 흥미롭다.

김기훈 기자/kih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