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무국적 마라토너 올림픽 출전…국기 대신 오륜기 들어
[헤럴드생생뉴스]각국을 대표하는 선수들이 한데 모여 경쟁하는 올림픽에 오륜기를 들고 무국적으로 출전하는 선수가 있어 눈길을 끈다. 이른바 ‘개인자격’으로 출전한 선수들이다.

올림픽은 국가를 대표하는 선수들이 참여하는 경기지만 특수한 상황에 놓여있는 선수들이 개인 자격으로 출전하는 경우도 허용되고 있다.

해외 언론들은 2일(현지시각) 무국적 참가가 가능한 올림픽에서 최근 단연 눈길을 끄는 이가 있다며, 국가도, 코치도 없이 이번 런던올림픽에 개인 자격으로 출전한 한 마라토너의 사연을 소개했다.

화제의 주인공은 미국에 사는 난민 가우어 마리얼(28).

낡은 마라톤화 한 켤레만을 가지고 이번 올림픽 마라톤 경기에 출전한 그는 아프리카 중동부에 있는 남수단에서 태어났다.

당시 남수단은 내전으로 혼란스러웠던 상황이었던 터라 날 때부터 마리얼은 생존을 위해 사막을 뛰어다녀야만 했다.
 
사진출처=영국 가디언지 캡처

특히 그의 나이 20세 때 벌어진 내전으로 남수단의 국민 200만명이 사망했고 이 기간, 마리얼도 8명의 가족을 잃는 아픔을 겪었다.

이후 마리얼은 전쟁포로로 붙잡혀 노예생활을 하다가 이집트로 탈출한 후 미국으로 건너가 난민 신분을 얻었다.

난민이 된 마리얼은 더이상 생존이 아닌 마라토너의 꿈을 위해 달렸고, 지난해 첫 출전한 미국 마라톤대회에서 올림픽 출전이 가능한 기준 기록인 2시간14분 대로 통과하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런던올림픽 참가 여정은 그리 쉽지만은 않았다.

그가 태어난 남수단은 지난해 수단에서 독립한 신생국으로 올림픽 위원회가 없었기 때문이다. 이에 (북)수단 정부는 마리얼에게 (북)수단 대표팀에 합류할 것을 제안했지만 그는 이를 거절했다.

마리얼은 “만약 내가 북수단을 위해 달린다면 자유를 위해 싸우다 죽은 200만명을 욕보이는 짓”이라며 단호한 입장을 표명했다.

마리얼의 이같은 사연은 곧 국제올림픽위원회 IOC에 알려졌고, IOC는 회의를 거쳐 지난달 중순 마침내 마리얼의 대회 참가를 허락했다.

홀로 런던에 도착한 마리얼은 오는 12일 마라톤 경기를 앞두고 훈련에 매진하고 있다. 그는 “내가 비록 국가의 깃발을 들지는 못하지만 내 나라는 그 장소 그대로에 있다”며 “드디어 내 꿈이 실현됐다”고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한편 이번 올림픽에는 마리얼 뿐만 아니라 여성 요트 레이저 레디알의 필리핀 판 안홀트(19), 남자 유도의 레지날드 드 빈츠(27), 남자 육상 400m의 리-마빈 보네바치아(23.이상 전 네덜란드령 안틸러스)이 ‘올림픽 독립 선수(an Independent Olympic Athlete)’ 자격으로 출전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