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예비전력 위태…고리1호 재가동?
26일 오전 전력예비율 11%
전력 사용량 최대치 경신 조짐
살얼음판 전력관리 정부
안전성·주민설득 최대 관건


정부가 멈춰선 고리 원자력발전소 1호기 재가동에 사활을 걸었다. 때 이른 무더위로 시작한 폭염이 장마를 거치면서 예년보다도 더 길게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자 유일한 희망은 현재 가동이 중단된 고리1호기의 재가동밖에 없다는 결론을 내린 것이다.

▶대정전 막으려면 고리1호기 돌려야=26일 오전 9시35분 현재 전력예비율은 11%, 전력사용량은 6933만㎾로, 이미 7000만㎾를 육박하고 있다. 예비율은 731만㎾다. 지난 23일부터 연 사흘째 지속된 ‘전력사용량 최대치 경신’이 나흘째로 이어질 조짐이 보인다. 기상청은 26일 서울 지역 낮 최고 기온을 35도로, 경북 경산의 경우 38도까지 치솟을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 가동이 중단된 원자력발전소는 총 4기다. 재가동 승인을 받고도 주민들의 반대로 멈춰서 있는 고리1호기와 정기 점검으로 멈춰 있는 월성1호기, 울진3ㆍ4호기다.

이 가운데 월성1호기는 7월 중 가동이 가능하고 울진3호기는 10월, 4호기는 내년 9월에나 가능한 상황이다. 이미 25일 오후 2시14분쯤 전력 수요가 7315만㎾까지 치솟으면서 예비전력이 376만㎾까지 떨어지기도 해 정부로서는 살얼음판 전력관리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

원자력발전소 1기당 생산할 수 있는 전력량이 100만㎾에 달해 정부로서는 월성1호기에 이어 고리1호기의 재가동이 절실한 상황이다. 지식경제부는 고리원자력발전소 민간환경감시기관 5곳을 설득해 지역 주민들의 여론을 돌리는 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낮 최고 기온이 35도까지 오른 서울. 26일 오전 10시부터 급증한 전력 수요로 전력예비율은 8% 안팎을 거듭하고 있다. 서울 중구의 한 건물 벽에 붙은 에어컨 실외기가 에너지 절약을 강조한 설치미술 같다. 김명섭 기자/msiron@heraldcorp.com

▶그래도 원전인데… 너무 내줬나=지경부는 민간환경감시기관 감시위원들에게 원전 출입 절차를 완화해줬다. 상시ㆍ수시ㆍ일시 출입자로 총 3단계로 나눠져 있는 출입자 신분 중 감시위원들은 일반인과 같은 일시 출입자에 해당했지만 공사ㆍ용역 목적의 출입자와 동일한 수시 출입자로 바뀌면서 방문증도 작성할 필요가 없어졌다.

하지만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는 업무 침해와 안전상의 이유를 들어 민간감시위원들의 수시 출입을 반대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논란이 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원자력안전위원회 관계자는 “민간 감시도 정도가 있는데 원전에서 동네 반상회를 해도 될 수준이 됐다”고 비판했다.

또한 민간환경감시기관에 대한 정부 지원도 대폭 늘어난다. 올해 25억원인 것을 내년에는 40억원으로 늘릴 예정이다.

민간기관 한 곳마다 고리 지역 지자체장 등 지역 유지들 15명 안팎으로 구성된 것을 감안하면 과도한 지원이라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게다가 이들에 대한 지원금은 최근 고갈된 전력산업기반기금에서 부담될 것으로 알려지면서 예산 기반에 대한 논란도 불거지고 있다.

윤정식 기자/yj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